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9년 09호
-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고순도 플루오린화수소(HF),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에 대해 한국 수출 절차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일본 정부는 전략물자를 수출할 때 허가를 간소화하는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기로 결정하면서 최대 1100여 종에 이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탄소는 가장 많은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원소다. 미국화학회가 운영하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등록 번호’에 등재된 화합물 중 탄소 화합물이 대략 90%에 이른다. 그런 탄소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생명, 문명, 별빛, 이 모든 곳에 탄소가 필요하다. 물론 화석연료와 합성소재의 무분별한 사 ...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PART 3달리기를 위한 첫 번째 준비물은 러닝화다. 잘 고른 러닝화는 발바닥을 보호하고 아치 구조나 아킬레스건이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에는 첨단 신소재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운동화도 출시되고 있다. 나에게 맞는 러닝화는 무엇일까. "중창은 러닝화에서 ...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이 내뿜는 입자들이 미는 힘으로 우주를 항해하는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Lightsail) 2호’가 미국 동부 시간으로 7월 31일 계획대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며 우주 항해 기술을 완벽하게 선보이는 데 성공했다. 우주 돛단배는 미래 장거리 우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제주도에서 가볼만한 곳이라고 하면 흔히 한라산 백록담, 천지연폭포, 해수욕장 같은 곳들을 떠올린다. 하지만 1990년대 우리가 조금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어쩌면 발사체를 우주로 쏘아 올리는 발사대도 제주에서 꼭 가보고 싶은 명소 중 하나였을지도 모른다. 발사장 터 찾아 전국을 뒤지다 ... ...
- [미국유학일기] 열심히 쓰고 자연스럽게 말하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미국에서 3년을 지내고 나니,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고 하면 “그런데 왜 이렇게 영어를 잘 해?”라며 깜짝 놀란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외국인은 영어 발음이나 억양에서 대부분 티가 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나를 포함해 주변의 유학생들 대부분은 발음이나 억양이 미국인과 비 ... ...
- [중국유학일기] 중국어에 익숙해지고 싶다면 친구부터 사귀자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한대에 처음 왔을 때는 생활용품을 구매하기 위해 주변의 마트를 찾는 것조차 힘들 정도로 심한 언어 장벽에 부딪혔다. 1년 넘게 지난 지금은 언어나 일상생활에서 안정을 많이 찾은 편이지만, 아직도 어려움이 모두 해소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전공 공부와 발표, 논문 등 학과 공부에서는 어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최근 조합론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SNS가 인터넷에 올라온 논문 하나 때문에 떠들썩했습니다. 민감도 추측이라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오랜 추측을 이 분야 연구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결하게 증명한 겁니다. 답이 ‘예’ 또는 ‘아니오’ 둘 중 하나로 나오는 ... ...
- [SW진로체험] 블록체인 세상을 바꿀 평화로운 혁명! 김서준 해시드 대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정보를 한곳에 두지 않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개인이 공유하도록 ‘블록’ 형태로 묶고 체인처럼 엮어 저장하는 기술인 ‘블록체인’은 미래 사회를 이끌 새로운 경제 기반으로 떠오르고 있다. 블록체인 전문 투자 회사인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를 만나 블록체인이 보여주는 미래의 모습을 들 ... ...
- [특집]포항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정말 지열발전 때문일까?지난 2017년 11월 15일을 기억하나요? 바로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큰 지진이 일어난 날이지요. 당시, 포항은 물론 멀리는 서울에서까지 땅의 흔들림이 느껴질 정도로 그 규모가 대단했답니다.그런데 그로부터 약 1년 반이 지난 3월 20일, 다시 포항 지진이 주목받고 있어요. ... ...
이전4414424434444454464474484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