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갖게 되었다. 만약 창조론자의 주장대로 거대 코끼리인 매머드의 멸종이 구약 창세기에
기록
된 노아의 홍수 때문이었다고 한다면 이들의 화석은 해성층에서 발견돼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해성층에서 완벽한 매머드 전체의 화석이 발견된 적은 없다고 한다. 또한 모든 화석이 노아의 홍수 시기에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東國與地勝覧)'에 '1002년과 1007년 제주도에 검은 연기가 치솟ㅇ아 항해를 할 수 없었다'는
기록
이 발견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1597년 1668년 등에 백두산일대지역이 화산 재로 되덮였다고 쓰고 있다.환태평양지역 '불의 고리'의 일부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지역도 화산발생이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CCD를 이용, 화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플로피에
기록
한다. 이 플로피는 한장에 50화면을
기록
하고 최고 1초에 10개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한편 최근에는 녹화 및 재생일체형의 전자스틸카메라도 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카메라 본체에 녹화 재생기능을 주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나 어댑터(adapter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50}$년이 걸린다"고 밝혔다. 그러므로 "생명체 합성에는 지름길(short-cut)이 있어야 한다"고
기록
했다.진화론에서 주장하는 지구의 연령은 45억년이다. 얼핏 생각하면 무척 긴 것 같지만 4.5×${10}^{9}$년 밖에 되지 않으므로 단백질 하나도 자연적으로 생성되기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진화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그리고 점진적으로 이뤄져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화석
기록
은 새로운 종이 갑작스럽게 출현한 후 그들의 특징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생존하는 기간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이에 따라 단속평형설이 제안됐다. 이 이론은 종의 분화가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회녹색빛의 5' 직경을 가진 원판같이 보인다. 그러나 영국 로스경은 1851년 자신의 관측
기록
에서 "둥글지 않다"고 적고 있다. 날씨좋은 밤에는 10인치 망원경으로도 이 성단의 가장자리가 분해돼 보인다. M9는 은하수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구상성단이기도 하다. 중심에서 약 2kpc(7천5백광년)떨어져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관한 과학적 체계화가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지구과학이 종합화된 것이다.고대부터 관측
기록
등으로 존재하던 기상학은 19세기 중반에서야 독자적인 분야로 발전했고 컴퓨터 기술의 발달, 관측 장비의 발전으로 예측성에서 현저한 발전을 보게 된다. 근대적인 의미의 해양학은 1872년 영국이 해저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치타의 평균수명은 12~14년. 초원에서 포획된 치타가 18년 동안 동물원에서 사육됐던
기록
이 있다.치타는 동부 아프리카의 일부 지방에서 아직도 적지 않은 수가 살고 있다. 그러나 그밖의 지역에서는 거의 절멸상태다. 특히 인도에서는 절멸 직전에까지 이르렀는데 그 이유는 귀족들이 치타털옷을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갈고 있다. 기자가 찾은 날(5월13일) 1천9백1번째의 반사망원경을 막 끝내고서 장부에
기록
하고 있었다.김한철씨(65). 남들 같으면 집안에 앉아 손자손녀들 재롱이나 보면서 여생을 편안히 보낼만 하건만, 집(부평)에서 두시간씩 걸리는 작업장(성동구 구의동)에 나와 매일같이 망원경의 반사경을 갈고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쓰는 것이 아니라 그 학생의 모든 것을 소상히 알 수 있도록 장단점을 모두 다
기록
한다. 따라서 기업체는 지원자들의 입사시험성적보다 더 큰 비중을 교수의 추천서에 두고 있다. 따라서 대개는 교수가 추천하면 문제없이 채용이 확정되는데 교수나 학생이 그들의 전공과 다른 기업에 추천하거나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