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제 1학년을 막 끝내다 보니 우한대에 어떤 진로 프로그램이 있는지 속속들이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선배들이나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한대도 다른 대학처럼 재학생의 진로 결정을 돕는 프로그램을 여럿 운영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해외 교류다.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지원해 ... ...
- 사람이 지진을 일으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지금까지 지진은 지각판이 움직이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이라고만 여겨왔는데, 어떻게 사람 때문에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걸까요? 사람이 정말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걸까요? 미국 오클라호마주에 인공지진이 증가한 이유?실제로 사람들이 뛰거나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녀서 생기는 인공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음, 포항 지열발전소 아래로 물이 들어가고 있었군요. 그럼 포항 지진도 지열발전이 일으킨 유발 지진 아닌가요? 결론은 ‘촉발 지진’이라고 하던데…. ●●● 증거 1 ●●●액체 65만 L가 사라졌다?!지열발전소 주변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5년 10월까지 한 번도 지진이 감지되지 않았어요. 그런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조 소장의 호기심은 멈추지 않는다“기자님은 대학에서 뭘 전공하셨어요?”4월 2일,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조윤석 십년후연구소 소장은 기자를 보자마자 대뜸 물었어요. 훅 들어온 질문에 당황한 기자가 답했지요.“어…. 물리랑 철학을 전공했어요.”조 소장은 눈을 반짝이며 ‘판데르발스 ... ...
- [과학뉴스]입자 로봇 10만 대, 뭉쳐야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지난 3월 20일, 미국 콜럼비아대학교 호드 립손 교수팀이 생체를 모방한 군집 로봇 시스템을 공개했어요. 연구팀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수십 개의 로봇이 늘어났다 줄어들면서 움직이는 모습이 꼭 세포가 움직이는 모습과 닮았지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10만 개의 로봇은 액체처럼 움직이기도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몸무게 약 2.5mg, 아무리 커봐야 몸길이 2cm 이하. 손바닥 벽치기 한 번이면 바로 죽고 마는 미미하고 나약한 존재. 그런데 해마다 약 70만 명의 인간을 ‘살해’하는 최악의 인간 킬러. 모기 얘기다. 1993년, 고교 시절 마지막 여름은 그리 덥지 않았다. 대신 흐렸고, 습했고, 비도 자주 내렸다. 학교가 ... ...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나도 영재가 될 수 있을까?이렇게 스스로에게 질문하면 대다수 학생은 고개를 흔들 것이다. 영재라고 하면 대부분 특정 분야에서 누가 봐도 특출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영재는 탁월한 성취를 이룰 가능성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이 ...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기다리고 기다리던 여름 방학! 모처럼 얻은 휴식 시간에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을 찾는다면 ‘던전앤파이터’만한 게 없습니다. 던전(몬스터 소굴)에 들어가 몬스터를 한꺼번에 무찌르다 보면 스트레스가 한 방에 날아갈 테니까요. 단, 수학을 알면 훨씬 더 재미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
- [화보] 지금 이곳은 한겨울, 남극풍경과학동아 l2019년 08호
- “7월 8일 현재 이곳은 영하 35도입니다. 3개월째 해가 뜨지 않는 극야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서울에서 1만2740km 떨어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제6차 장보고과학기QD지 월동연구대’로 활동 중인 이재진 생물대원이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남극 소식을 전해 왔다. 무더위가 계속되는 한국과 달리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태평양 바닷속 저 아래 심해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 한국의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9월 서태평양 심해 4000m 깊이에서 탐사에 나선다. 한국의 무인 잠수정이 이 정도 깊이의 심해에서 탐사를 시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 심해 탐사 임무 중 해미래가 세운 가장 깊은 잠수 기 ... ...
이전4434444454464474484494504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