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91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창어4호 달착륙 당시 영상 공개…표면 온도 측정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2020년 이전 ‘창어 5호를 발사해 달 뒷면의 표면을 탐사하고 달 토양 약 2kg를 채취한 뒤
지구
로 안전하게 복귀하는 임무를 추진한다.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 ...
21일 뜨는 '슈퍼 울프 블러드문'…한국선 직접 못봐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것이 아니라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 빛이
지구
를 거쳐서 달에 전달되기 때문에
지구
에서는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다. 트레이시 그렉 미국 버팔로대 지질학과 교수는 "슈퍼 울프 블러드문은 슈퍼문, 울프문, 블러드문이 한꺼번에 일어나는 아주 희귀한 천문 현상으로 이번 세기에 28번만 관찰 ... ...
전국 17개 시·도 전부 대기환경기준 초과…최대 3.9배로 웃돌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건 아직까지 당시가 유일하다. 당시 연구에 참여한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
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한반도에 고기압이 자리하면서 상대적으로 저기압인 중국 방향으로 바람이 불면서 중국에서는 미세먼지가 넘어오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미세먼지 ... ...
中, 창어 4호가 찍은 달 뒷면 파노라마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분리된 탐사 로봇 '위투(옥토끼) 2호'는 이날 '췌차오'의 도움을 받아 서로 모습을 찍어
지구
로 전송하기도 했다. 탐사선과 로버 모두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보였고, 분화구들이 있는 달 뒷면의 적막한 풍경이 나타났다. 위투 2호는 앞서 지난 7일 잠시 낮잠 모드에 들어가기도 했다. 달 표면은 ... ...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시간) 공개한 시험용 유인 우주왕복선 ‘스타십 호퍼’. 4~8주 이내 사람을 태우지 않고
지구
상공에서 시험비행을 한다는 계획이다. - 일론 머스크 트위터 스페이스X가 추진하는 유인 왕복선의 개발도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ISS에 우주인을 실어나를 크루 드래건의 시험 비행은 이달로 예정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백세 시대 인류가 원시인보다 암울한 이유
2019.01.13
전 세계 인구를 감당할 방법이 없습니다. 밥이나 빵을 너무 좋아하면 건강에 안 좋지만
지구
생태계를 위해서라면 곡물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백 년도 안 된 백세 시대 다이아몬드의 말처럼 농업의 도입은 혁명이라기보다는 재앙이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인류는 기어이 ... ...
'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 둥근
지구
바닷길 찾는 항법장치로 세계 여행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2020년
지구
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들의 축제가 호화 크루즈선 위에서 열린다. 그들이 주장하는 '
지구
평면설'에 근거한 평평한 원반형의
지구
모 ... 상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다. 케이저는 “만약
지구
가 평평했다면 세 개의 위성이면
지구
상 모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지구
촌 변화 이끈 넛지효과, 기후변화 문제에도 효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지구
온난화로 생기는 이상기후 현상이 갑자기 사라지지는 않는다. 기후변화 이전으로
지구
환경을 되돌리는 데 상당한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기후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만큼 심리학 치료법을 활용해 버크 교수의 연구 결과와 같은 불상사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심리학 치료와 ... ...
지구
자기장이 요동친다…“이대로라면 선박 항해 어려워질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업데이트 직후인 2016년 남미 북부와 동태평양 밑에서 액체 상태의 철 성분이 요동을 쳤고
지구
자기장은 일시적으로 강한 펄스를 내뿜었다. 예기치 못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반구 자기극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문제가 더욱 악화됐다. 1990년대 중반에는 연간 15~55㎞씩 이동하며 속도를 ... ...
성가신 모기 ‘산아제한’으로 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지금은 여름 모기의 성가심을 잊는다. 하지만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는 ‘감염병 매개체’ 모기와 목숨을 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이 여기에 뛰어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사진 출처 프리픽 생명공학계 모기와의 전쟁 3題 여름 한때 성가신 곤충쯤으로 생각하는 모기는 실은 인류에게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