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있기 때문에(정확히 표현하자면 기존 완성형 코드에 입력이 안되는 글자들을 여유있는
자리
에 집어넣었기 때문에) 정렬이나 찾기를 할 때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비록 글자를 정렬해주는 함수를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지원해준다고 해도, 그것을 국내의 프로그래머들은 아쉬운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않고 질량이 큰 동반성을 지닌 마차부
자리
별(Aur)과 거문고
자리
별(Lyr), 그리고 오리온
자리
의 BM별(BM Ori) 등도 블랙홀이나 최소한 중성자별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적지 않다.상대성이론 에피소드 특수상대성이론의 한계빛이 중력장에서 굽는다면 특수상대성이론은 틀린 것이 아닐까.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
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교수직도 학위를 따자 마자 제 지도교수가 교수직을 그만두는 관계로 공석이 생겨 그
자리
를 제가 메운 셈이지요.”국내박사로서, 그것도 설립 당시 많은 관심을 끌었던 KAIST의 1호박사라는 꼬리표는 양박사에게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한 듯하다.“학생이 바로 교수로 발탁된 것은 예외적인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간단하고 상처도 남지 않는다. 그러나 수술 후 딱지가 생기고 이것이 떨어져 나간
자리
에 햇볕을 쬐면 색소 침착 때문에 다시 검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용어설명어린선 피부염 : 피부가 건조해 물고기의 비늘같은 것이 생기는 유전성 각화증. 심상성어린선과 선천성어린선으로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때문에 더욱 흥미를 끌고 사랑을 받는다. 그러나 이들 말고도 여러 생물들이 남극에 보금
자리
를 마련해 살아가고 있다.바닷속을 들여다보면 1차 생산자로서 바다에 녹아있는 영양염류를 먹고 태양에너지를 받아 살아가는 박테리아와 식물성 플랑크톤들이 있다. 이들은 크릴의 먹이가 된다. 크릴과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남극기지의 설립이 서둘러졌다. 남극세종기지는 1988년 2월 17일 킹조지섬 남서쪽에
자리
를 잡았다. 이때부터 제1차 월동대가 남극에 머물며 본격적인 남극연구를 시작했다.세종기지에서의 연구는 킹조지섬 근처의 육지 바다 대기 생물 등을 살피는 일부터 시작됐다. 그동안 연구됐던 주요 내용을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듯한 분위기다.독수리성운은 뱀
자리
(Serpens)의 꼬리에 있는 암흑성운으로 방패
자리
와 사수
자리
경계에 있다. 수소가스 먼지로 이뤄진 거대한 기둥(높이는 약 1광년)과 어두운 분자구름들(molecular clouds)은 이를 처음 본 관측자들의 마음을 여지없이 사로잡고 만다.별들은 강한 자외선 복사(radiation)로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네 모서리에 우뚝 솟은 거대한 탑이 이 사원의 주요 건축물. 세계의 중심이자 신들의
자리
를 뜻하는 수미산을 돌로 쌓아놓았으며, 높이 59m의 중앙사당 탑 끝에서 행랑의 사각탑 끝을 연결해보면 사각추 피라미드 모습이 된다. 이 사원의 건축 양식은 인도의 영향이 전혀 없지는 않았지만, 건물의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했다.서울과학고 학생들이 제안한 귀성시간 단축 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자동차번호 끝
자리
수에 따라 차선을 지정한다.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운행할 차선을 알려준다)② 톨게이트에서의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속도로 이용료 예매권을 판매한다. 예매권의 경쟁력을 위해 이용료 할인을 해주고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다가선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무선호출은 의사나 기자, 영업사원 같이 자주
자리
를 옮기면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연락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요즘은 젊은 사람이면 필수 소지품의 하나로 무선호출기를 꼽는다. 중고생에게는 어머님들을 안심시키는 '탈선 방지용'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