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d라이브러리
"
녹색
"(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세포가 알알이 모여 있는 모습이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사과 같다. 메드아트는
녹색
을 띠는 후두덮개에서 클림트가 그린 풍성한 사과나무를 떠올렸다 ... ...
“과학자 때문에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신
녹색
병’이라는 별명을 얻고 있는 이 병은 농작물, 특히 오렌지와 같은 과일을
녹색
으로 변하게 하고 맛도 시게 만들거든요. 그래서 이 병의 주 원인인‘아시아 쥐벼룩’을 막기 위해 유전공학자들이 아시아 쥐벼룩의 유전자를 파악해 초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과 비교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무엄하다! 선덕여왕님께서 지내실 집이니 가장 좋은 재료로 지으라고 그렇게 강조했거늘, 어찌 나무로 지었단 말이냐?”“그게…,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들이 한사코 나무 집이 좋다고 해서….”“그럴 리가 있느냐? 신라의 산마다 넘쳐나는 흔한 재료가 나무다.”“그냥 나무가 아니라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홀로그램 스티커를 붙이거나, 한 번 포장을 열면 표시가 나는 라벨을 붙이기도 한다.
녹색
포장으로 자원 순환을!다양한 기능으로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포장이지만 모든 임무를 마치고 나면 쓰레기가 될 수 있다는 걸 잊어서는 안 돼. 실제로 포장 폐기물은 1년에 560만 톤(97년 기준), 전체 생활 ... ...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변한다. 5번이나 허물을 벗기 때문이다. 허물벗기가 모두 끝난 애벌레는
녹색
을 띠는데,
녹색
실을 뽑아 몸을 칭칭 감아 번데기가 된다.애벌레는 번데기 안에서 옴짝달싹 못한 채 겨울을 난다. 거의 움직이지 않을 뿐더러 먹지도 못한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번데기를 뚫고 나비가 탄생한다. 전혀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섞은 듯한 펜을 쓰면 글씨 선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바탕에도 묻히지 않는다. 암
녹색
칠판에 흰색 분필로 쓴 글씨가 희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볼펜에서 이런 효과를 내려면 잉크에 입자가 큰 안료를 타야 한다. 안료는 일종의 돌가루다. 수성잉크일 경우 안료가 가라앉아 뭉칠 수 있으므로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유미가 우리 집을 너무 빨리 지나가 쓸개즙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면 그대로 배설돼
녹색
이 되거나, 간질환이나 담도폐쇄 질환을 앓는 경우에는 회색인 애들이 있다. 사람들에게 건강 이상 유무를 알릴 수 있으니 우리 대변들의 피부색은 중요하고 특별하다.가족 소개우리 대변 형제는 모두 ... ...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두근두근, 두근두근, 두근두근….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명예기자 정종희 친구의 심장이 두근거리는 소리예요. 종희는 지금 태어나서 처음으로 자전거 타기에 도전하고 있거든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중에는 자전거를 잘 타는 친구도 많을 거예요. 하지만 종희처럼 아직 못 배운 친구도 있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게 아닐까? 그 절박한 과제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꼭 동참해 주길 바랄게! ❶
녹색
지구를 가꾸는 첫 걸음은 무엇보다 생활 속의 작은 실천이라는 것을 보여 주는 전시물.❷ 운동기구를 열심히 밟으면 화면에서 산소가 늘어나고 이산화탄소는 줄어든다. 게임을 하면서 지구 환경에 대해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생활 곳곳에서 숨어 있는 수학을 발견한다면 수학과 금세 친해질 수 있어. 신호등의
녹색
불의 시간이 횡단보도의 길이와 횡단보도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의 평균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건 알고 있겠지.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유난히 오지 않는 버스도 사실 운행 거리와 이용하는 사람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