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중"(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제품을 만들 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 펀딩은 이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투자 방식이다. 대중은 제작자의 제품 가치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데, 대부분 앞으로 만들 제품이기 때문에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 그래서 목표금액을 100% 채우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최근 한 크라우드 펀딩 회사에서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성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에 비견될정도의 인물이다.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자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1950~1970년대였다. 이 시기에 현대수학의 중요한 분야를 완전히 새로 정립했으며, 자신이 개척한 분야를 알리고 세계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매우 가깝다.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인 저자가 기획한 시민을 위한 일반물리학 대중서가 출간됐다. 제목에는 ‘세상 무엇이든 물리로 설명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리를 소개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책은 저자의 분신이기도 한 ‘바리교수’와, 함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민준’과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넣은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IBM은 올해 3월 양자컴퓨터 플랫폼을 대중에 공개했다. 그리고 그간 조용히 숨 고르기를 하고 있던 마이크로소프트는 9월, 연말까지 양자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개하겠다며 치고 나왔다. IT 업계 최고 3사가 모두 양자컴퓨터에 달려드는 이유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바꾸는 신기술-게놈 편집의 최전선’을 방영했다. 제작팀은 유전자 가위나 게놈 편집이 대중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2014년부터 발 빠르게 취재를 시작했다. 이 책은 당시 취재와 제작에 참여한 팀이 프로그램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를 덧붙여 집필했다. 기술의 개요와 발달 과정 같은 이론적인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못한 음악 장르를 들고 나옵니다. 그러나 곧 이 무겁고, 어둡고, 난해해 보이는 음악으로 대중문화사를 흔들어 놓습니다. 특히 끊임없이 회자되는 앨범 ‘벽’은 최고의 음악을 넘어 작품으로 칭송받지요. 이 앨범은 록 오페라 형식을 띠고 있어 두 장의 디스크에 담긴 26개의 개별적인 곡이 모두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내에서 리히터의 표준적인 방법으로 측정한 지진 규모를 국지지진 규모(ML)라고 부르며, 대중이 흔히 알고 있는 지진 규모가 바로 이 값이다. 이상적으로는 어떤 계산법을 택하더라도 지진 규모 값이 같아야한다. 하지만 관측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고, 아직까지 지구 내부의지진학적 특성에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달이 돌아왔다. 올해는 중력파가 물리학상을 거머쥘 것으로 예측됐는데, 노벨상위원회는 대중의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고 이듬해 물리학상이 주어진 것과 비슷한 패턴이다. 중력파는 2015년 9월 처음 관측된 이후 2016년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BSA·British Science Association) 주관으로 1831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영국 최고의 대중 과학 행사다. 올해 축제의 스포트라이트는 일레인 츄(Elaine Chew) 퀸메리대 전자공학및컴퓨터과학과 교수에게 쏟아졌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치명적인 심장 마비의 잠재적인 경고인 불규칙한 심장박동은 대부분의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쏟아지던 다양한 아이디어를 일관되게 통합시켰다. 도킨스가 지난 이십여 년간 과학의 대중화에 몰두했다고 해서 그가 일군 업적까지 깎아 내릴 필요는 없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