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포"(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원활해지며 전류량이 증가한다. 전원이 꺼져 전류의 공급이 끊긴 경우, 이 산소 공공의 분포를 보고 이전의 저항 값(흘러간 전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진짜 멤리스터는 어디에HP의 멤리스터에 대한 평가는 극명히 갈린다. 이전의 저항을 기억하고, 이를 3차원으로 구현했다는 점만으로도 ...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추정했을 때, 4억6700만 년 전에 지구로 온 소행성 파편들에는 HED 아콘드라이트가 10~29% 분포해 있지만, 현재는 6.6% 포함돼 있다. 이는 베스타의 연쇄 충돌로 생긴 파편이 지구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뜻이다. 점차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연구팀은 소행성 띠에서 지구로 오는 파편의 출처에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돌아갔다. 천이 초기와 유사하게 양이 매우 적었다. 또 빙하가 후퇴한 지역은 식물 분포가 높은 곳에 토양 표층의 유기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기물을 공급하는 주된 원천이 식물이 생장하면서 내보내는 삼출물, 낙엽 등이라는 뜻이다.빙하나 눈이 녹은 물은 토양과 함께 흐르면서 피오르드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충수의 기능을 진화적으로 살피는 연구를 시작했다. 포유류의 맹장과 충수의 계통 발생 분포를 연구한 것이다. 이들은 지난 2009년 ‘진화생물학저널’에 첫 번째 연구 결과를 발표한 데 이어, 올해 1월에는 더 상세한 내용의 논문도 내놓았다.포유류 533종을 연구한 결과, 충수는 영장류, 설치류와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주름이 있어요. 뇌에 주름이 많으면 표면적이 넓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신경세포가 분포할 수 있지요. 바로 이 신경세포가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고등 동물이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거예요.최근 미국 화이트헤드연구소 연구팀은 ‘신경 전구세포’를 키워서 주름진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다. 기체의 흐름에 따라 입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파악해야 입자를 고르게 분포하도록 만들 수 있고, 결국 에너지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체 알갱이는 기체의 흐름에 따라 움직일 것 같은데, 이게 그렇게 어려운 연구인가요?”라고 조심스레 묻자 박 교수는 익숙한 질문이라는 듯 ... ...
- [가상 인터뷰] 아! 이! 우! 에! 오! 인류의 발성 조상은 개코원숭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했어요. 성대의 단면적 데이터가 부족할 때는 단면적의 범위를 정해 놓고 확률분포에 맞게 데이터를 만들어냈어요. 이런 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라고 하더군요.모음을 발음하는 건 인류의 특별한 능력인줄 알았는데 반성할게요. 미안해요!괜찮아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인류의 조음 능력 ... ...
- [수학뉴스] 크거나 작거나 중간은 없는 동물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그 결과 사자와 쇠똥구리, 집게벌레, 아메리카솔새, 박새에서 두 개의 정점을 가진 ‘이봉분포’가 나왔습니다. 어떤 동물은 장식을 키워 적극적으로 구애했고, 반대로 어떤 동물은 쓸모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여 수명을 늘리려고 한 것입니다. 애매하게 둘 다 가지려고 한 동물은 거의 없었습니다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에서 지구 맨틀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용해 지구의 맨틀을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맨틀은 지표면에서 30~2900km에 분포하는 층 구조로, 다양한 종류의 액체 광물이 들어 있다.미국보석감정연구소(GIA)의 이반 스미스 연구원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다이아몬드로 꼽히는 ‘컬리넌’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밝히기 위해 거대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설명은 ‘반작용(back reaction) 이론’에서 나온다. 이 이론에 따르면, 불균일한 물질의 분포가 우주의 평균적인 물질 밀도와 공간 팽창률에 영향을 미쳐 우주의 가속팽창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이 적은 곳은 빠르게 팽창해 부피가 크게 늘어나므로 평균적으로는 우리 근방의 우주가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