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늘날"(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로 오늘날의 사진기와 망원경의 모체다. 만약 이 기계들이 없었다면 단연코 오늘날의 천문학은 없었을 것이다.이 책은 알하이삼의 어둠상자처럼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30가지 발견을 소개한다. 3만2000년 전 선사시대의 인류가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유전자를 분석하려면 대변으로부터 일일이 미생물을 배양해내야 했는데, 오늘날에는 미생물의 총체적인 게놈(메타게놈)이나 대변에서 원하는 염기서열 정보만 추출할 수 있다. 장내미생물 연구에 주로 많이 쓰이는 염기서열은 16S리보솜RNA다. 이것은 단백질을 만드는 리보솜의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아니었다. 하지만 실망하기에는 이르다. 바빌론과 브뤼헐의 초거대건축물에 대한 욕망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지금도 수많은 초거대건축물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 바벨탑의 후손들은 바빌론과 브뤼헐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정교하고 튼튼하다. 다음 파트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시라. ▼관련기사를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학자들이 집합론의 공리를 정교하게 정의하면서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칸토어는 오늘날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집합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빛으로 힐베르트 호텔을 짓다최근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 머릿속에서만 상상해본 힐베르트 호텔을 직접 실험으로 확인해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온도를 추가로 떨어뜨리는 ‘양의 되먹임(positive-feedback)’ 효과가 발생했을 것이다. 오늘날 남극의 혹독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지리적 조건들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다.곤드와나로부터의 독립과 남극대륙이 고립되면서 나타나는 환경 변화는 남극 해역 주변 퇴적물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다르게 충격적인 악행을 태연히 저지르는 존재였다는 생각에서였다. 그 여파인지, 오늘날에도 과거의 아프리카인들 중에 사람을 먹는 사람이 살았다고 믿는 사람이 꽤 많다. 아프리카인이 여행 온 서양인을 붙잡은 뒤 구워먹고자 불을 지피는 장면은 영화나 만화 프로그램에서 개그(혹은 공포)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피오르드 해저탐사 및 시추 작업을 하고 있다. 비밀 4. 북극해와 동해가 닮은 꼴?오늘날 기후변화를 겪고 있는 북극해의 해양환경 시스템은 놀랍게도, 1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동해의 환경과 매우 유사하다. 특히 두 바다는 해류 순환이 매우 유사하다. 따뜻한 멕시코 만류가 북극해로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가장 마지막으로 분리됐다.해류극지의 환경을 만들다극지를 순환하는 해류는 오늘날 극지의 환경을 만든 장본인이다. 북극은 따뜻한 대서양 바닷물이 상승하면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해 해빙을 형성하고, 남극은 남극 순환류라는 차갑고 빠른 해류가 돌면서 따뜻한 해류가 흘러들어오는 것을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커지면서, 오렌지 나무로도 한계가 왔다. 사람들은 악취가 나는 물질을 땅 속으로 숨기는 오늘날의 하수도 시설을 고안했다. 하수도 시설은 크게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나뉜다. 합류식은 수세식 화장실에서 발생한 분뇨와 주방폐수(오수), 강우에 의한 빗물(우수)을 큰 하수도관을 이용해 한꺼번에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같은 후두가 없었기 때문이다. 티라노 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의 친척이자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공룡인 새를 보면 알 수 있다. 새에게는 후두가 없다.물론 새는 후두가 없어도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명관(syrinx)이 있기 때문이다. 명관은 폐가 기도와 연결되는 부위에 있는 기관으로 새로 하여금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