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수가 감소하고 면역이 약해지는 등 질병이 발생하거나 건강이 나빠질 수 있죠.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로테르담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는 장내 미생물이 우울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한국미생물학회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유해균을 키우는 인공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작지만, 질량은 206배 더 무거워. 또, 두꺼운 콘크리트를 통과할 정도로 투과력이 세지. 6월 15일, 일본 도쿄대학교 지진연구소 다나카 히로유키 교수팀은 뮤온으로 지하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 입자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연구팀은 6층 건물의 옥상에 4개의 뮤온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는 자리입니다. 2년마다 오프라인으로 열리는데, 올해는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개최됐어요. 지구사랑탐사대(지사탐) 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와 김예은 매니저는 2013년부터 10년간 꾸준히 어린이들과 함께해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마치 바둑에 쓰이는 검은 돌과 흰 돌을 연상시켜 바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죠. 지난 6월, 건국대학교 줄기세포재생공학과 박찬규 교수팀은 우리나라의 토종개 ‘바둑이’의 집단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이전에도 바둑이를 복제한 연구가 있었지만, 50마리 이상의 집단을 형성한 것은 ... ...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됐을 것으로 추정해 왔지요.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6월 20일,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자연사박물관 스테판 스피크만 박사팀은 약 2억 4천만 년 전 바다에 살았던 파충류인 타니스트로페우스 화석의 긴 목에서 포식자에게 물려 잘린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 ...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세포 모반에서는 간혹 유독 굵고 긴 털이 나는 경우가 있단다.점에서 털이 자란다고? 6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어바인대학교 마크심 플리커스 교수팀은 멜라닌 세포 모반에서 길고 억센 털이 자라도록 돕는 분자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모반 내부의 노화한 멜라닌 세포에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우주선 톈저우 6호에 실어 우주로 보냈습니다. 이 미생물은 톈궁 우주 정거장에서 6~8개월 머물다가 지구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렘 홍 밍 교수는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미생물이 잘 자란다면, 지금보다 더 다양한 환경에서 콩을 키울 수 있다”고 기대했어요. 30년 가까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통가 해저 화산 폭발로 지상 최대 번개 발생 지난해 1월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에 있는 해저 화산이 분화하는 일이 있었어요. 1만 km 떨어진 미국 알래스카에서도 소리가 들릴 정도로 20세기 관측 이래 가장 강한 폭발로 기록되고 있지요. 당시 과학자들은 위성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보이저 2호 / 해왕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거리가 너무 멀어서 지구의 탐사선이 찾아가기 어렵거든요. 보이저 2호는 1989년 8월 해왕성으로부터 4800km 떨어진 곳에 도착해 해왕성의 사진을 찍었어요. 해왕성 특유의 짙은 푸른색이 잘 나타났지요. 해왕성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에요. 태양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는 행성이기도 ... ...
- [이달의 우주날씨]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물기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유기물이 만들어 지며, 적당한 대기는 태양 빛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니까요. 지난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 주 망원경이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솟구친 거대한 물기둥을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 물기 둥의 높이는 약 1만km로 엔셀라두스 지름의 무려 20배에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