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도 귀찮은 사람은 키와 몸무게, 나이만 입력하면
한국인
표준 체형분류에 따라 자신과 비슷한 3차원 아바타가 자동으로 생성된다.이 기술을 개발한 박창규 건국대 섬유공학과 교수는 “3차원 아바타를 만들어 실제 쇼핑에 적용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직접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와! 성공이다.” 2008년 4월 8일 오후 8시 16분 39초,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이소연 박사는
한국인
으로는 최초로 우주인으로 탄생했다. 같은 시각 유니폼을 입고 열띤 응원전을 벌이던 광주과학고 학생들은 환호했다. 2학년 정민호 군과 노세영 양은 “이소연 박사가 모교 선배라는 점이 매우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책임지는 국장보로 임명했다. 한국에서 대학을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간 유학생 출신
한국인
이 NASA에 입사한지 19년 만에 국장과 부국장에 이은 ‘NASA 넘버3’로 등극한 순간이었다.초등학생 시절 흑백텔레비전에서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는 장면을 보고 NASA라는 곳을 처음 알게 된 신 박사는 ... ...
LHC, 왜 멈췄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생긴 부분은 LHC에 설치된 초전도자석 2개의 전기 연결 부위.CERN에서 7년째 연구 중인
한국인
과학자 노상률 박사는 지난 9월 26일 전화 통화에서 “양성자 빔 에너지를 5TeV(1TeV=1012eV)까지 올리기 위해 전류를 높이는 과정에서 초전도자석 사이의 전기 연결 부위가 높은 전류를 감당하지 못해 녹았다”고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그 뒤 지금까지 16개 나라 164명이 ISS를 방문했다. 우리나라 이소연 박사가 2008년 4월 10일
한국인
으로는 처음으로 ISS에 가서 18가지 과학실험을 하고 돌아왔다. 음속의 10배로 나는 비행기 X-43A2004년 12월 16일 지구에서 가장 빠른 공기흡입식 엔진 비행기 기록이 갱신됐다. 1967년 X-15가 작성한 음속의 6.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16억 달러(약 2조원)로 현재 5000명의 정직원과 2000명의 계약직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인
직원은 약 80명 정도다. 큰그림 보러가기 큰그림 보러가기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NASA에서 온 편지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양자색소역학의 모태가 되는 ‘한-남부 이론’을 제창했다.여기서 ‘한’은 재미
한국인
물리학자인 미국 듀크대 물리학과 한무영 교수의 성을 딴 것이다. 한-남부 이론은 안타깝게도 쿼크의 전하가 전자 전하의 정수배가 되는 등 문제점이 있어 결국 양자색소역학에 밀려 도태됐지만 그 기본 ... ...
독일 산업 발달의 진원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수도 있지만 독일의 공대 중 외국학생 비율이 가장 높다. 현재에도 베를린공대에서 많은
한국인
유학생이 공부하고 있다. 독일의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DHS라는 어학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독일의 학사제도는 우리나라와 달리 학사와 석사과정을 동시에 밟는다. 과정 중간에 중간시험이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물리학 중에서도 최근 양자정보 분야가 가장 활발히 연구돼서 더욱 힘이 난다. 아직
한국인
제자는 없지만 중국, 호주, 캐나다에서 온 제자들이 연구실 분위기를 역동적으로 만들고 있다.Anton Zeilinger profile1945년 오스트리아 출생1971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수학과, 물리학과 졸업1972년 오스트리아 ... ...
South Korea rejects disgraced clone license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있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자체도 꽤 의미 있는 발견일 수 있다. 현재 대다수의
한국인
들은 황우석 박사를 국가적 자존심이라기보다 당혹감의 근원으로 보고 있지만, 여전히 수천 명의 지지자들은 정부가 그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도록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