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구
조직
장치
기계
용구
구성
시스템
스페셜
"
기구
"(으)로 총 1,881건 검색되었습니다.
IAEA사무총장 "북한 원자로 재가동 조짐 심각한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IAEA) 사무총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
기구
(IAEA) 사무총장이 13일(현지시간) “영변 핵시설 원자로 재가동 조짐은 심각한 문제”라며 북한에 핵 활동 제한에 관한 국제적 의무 준수를 촉구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IAEA 이사회에서 “북한의 핵 활동은 계속해서 ... ...
발전소서 버려지는 열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개발하고 있다. ● 전세계 수소 생상 대부분은 ‘개질수소’에 의존 국제에너지
기구
(IEA)가 2019년 발표한 보고서 ‘수소의 미래’에 따르면 연간 전세계 수소 생산량 약 7000만t 중 76%는 천연가스(LNG)에서 추출하는 ‘개질 수소’에서 나온다. LNG 성분 메탄에 800도 이상의 고온 고압 증기를 주입하면 ... ...
WHO사무총장 "모든 나라 인구의 40%이상 접종이 먼저…연말까지 부스터샷 미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도입 유예 기간을 연말까지로 확대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세계보건
기구
(WHO)가 부국과 빈국 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이 연말까지 부스터샷(추가 접종) 도입을 연기해달라고 촉구했다. 테워드로스 ... ...
델타 뛰어 넘는 최강 변이 아직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관심 변이로 지정하며 유행 추이를 예의주시했다. 하지만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
기구
(GISAID)에 따르면 현재 뮤 변이는 전 세계 코로나19 감염 사례의 0.1%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뮤 변이가 관찰된 나라도 45개국에서 더 늘지 않고 있다. 7월 이후 남미에서는 뮤 변이에 의한 위중증 환자가 빠르게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축적된 기초연구 지식이 '질병 X'를 막는다
2021.09.08
인류는 앞으로도 계속 바이러스로부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의미다. 세계보건
기구
(WHO)가 가까운 미래에 인류를 위협할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목한 바이러스들. 출처 WHO / IBS 제공 ○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과학자들 이런 이유에서 미국, 영국, 호주, 중국 등은 이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 감염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까
2021.09.07
치료제가 중증 코로나19에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잇따랐다. 최근 세계보건
기구
(WHO)는 기존 약물 세 가지에 대해 코로나19 치료제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말라리아 치료제 알테수네이트, 항암제 이매티닙(글리벡)과 함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인플릭시맵이 포함돼 있다. ... ...
[팩트체크] mRNA 백신에 산화 그래핀이 들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7
그래핀'이 들어 있어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주장이 돌고 있다. 세계의 주요 보건
기구
와 각국의 철저한 허가를 거친 약품이라는 점에서 터무니 없다는 지적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한편에선 마치 진짜 뉴스인마냥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떠돌고 있어 백신 접종을 앞두고 가짜뉴스와 거짓 ... ...
시노백 코로나19 백신 감염 예방 효과 약 65.9%…접종 효과 첫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시노백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다소 낮을 것으로 짐작됐다. 시노백은 세계보건
기구
(WHO)에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51% 정도 된다고 보고했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한 백신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는 각각 95%와 94% 정도로 나타났다. 한때 전세계적으로 백신 공급량이 ... ...
델타에 이어 뮤까지…새 변이 등장에 복잡해지는 코로나19 지형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우선 람다 변이(C.37)는 지난해 12월 페루에서 처음 발견됐다.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
기구
(GISAID)에 따르면 지금까지 30개국에서 람다 변이가 보고됐다. 남미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전파력이 변이 바이러스보다 높고 코로나19 백신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WHO에 따르면 7월 ... ...
백신 효과 떨어뜨린다는 '뮤 변이' 일본서 확인…WHO 관심 변이에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확인됐다고 전했다. 일본에서 뮤 변이 유입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뮤 변이는 세계보건
기구
(WHO)가 지정한 ‘관심 변이’로 백신 효과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뮤 변이는 WHO가 지정한 관심 변이다. WHO는 코로나19 변이 가운데 전파력과 증상,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해 특별히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