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적확
정밀
명쾌
명석
명료함
명백
스페셜
"
명확
"(으)로 총 49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한자리 수, 췌장암의 습격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전적 요인은 3% 보고됐으나 그 연관성은 아직
명확
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암을 진단 받은 많은 사람 중 많은 수가 예상치 못한 이야기에 놀라지만 또 많은 수는 '그럴 줄 알았다…'며 탄식한다. 유익하지 않을 걸 알면서도 지속한 생활 습관, 괜찮을 거라 ... ...
더우면 난폭해진다, 진짜일까?
2016.08.09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례로 사람들에게 당신이 지금 짜증나는 이유가 더위 때문이라고
명확
하게 알려주면 더위때문에 공격성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문명사회에서 인간이 단순히 ‘덥고 짜증나서’라는 이유로 타인을 치거나 심하게는 살해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또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07.15
있는지 등을 가이드해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멘티는 자신이 필요한 요청 사항을 가장
명확
하게 제시해야 합니다. 특히 창조경제타운의 ‘멘토링 자랑하기‘에 멘토분들의 상세한 프로필이 나와 있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기술 분야 혹은 지원 내용에 대해 상세 검색이 가능하니까 가장 적합한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다음 세대에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멋지게 설명했다. 20세기 중반 들어 유전자의 실체가
명확
해지면서 멘델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다시 반세기가 지나자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으니 과학 패러다임의 변화란 이런 것인가. 물론 모든 과학자가 래딕 교수의 ... ...
인간의 아름다운 의지, 유전자의 한계를 극복하다. 가타카(GATTACA, 1997)
IBS
l
2016.04.04
발전시켜야겠죠.” 이 연구위원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은 옳고 그름에 대한
명확
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논란이 생기는 이유도 하나의 사안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과 생각이 있다는 데 있다.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도출해내기 위해서는 많은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담당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마이크로RNA에 탄생하는 과정에서 드로셔 단백질의 역할을
명확
하게 밝혀낸 것도 주목을 받았다. DNA의 유전정보를 복사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전령RNA(mRNA)가 임무를 마치고 분해되는 과정을 '꼬리서열 분석법'으로 밝혀낸 것도 큰 성과로 평가받았다. 다섯째 연구성과는 ... ...
신규원전으로 알고 싶어진 에너지 시설에 대한 오해 BEST 5!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상태는 자연적, 인공적인 여러 조건으로 항상 변하고 있으므로 온배수만의 영향을
명확
하게 규명하는 데는 현대 과학기술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온배수는 해양생태계에 양면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온수성 어류는 배수구에 모여들고 냉수성 어류는 이동한다. 우리 ... ...
동북아 원자력 안전 미래 향한 ‘뉴 클리어로드’ 의 출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했다. 그러나 그간의 협력은
명확
한 체계 없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어려웠다. 박 대통령의 협의체 구상은 원자력 안전 관리 야에서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상시적인 협력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구체적인 행동과 성과를 ... ...
['고리 1호기' 특집(2)]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전, 고리1호기의 탄생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우리나라는 미래에 적합한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선택할 정도의 안목과 목표를
명확
하게 갖고 있었다. 1950년대 초부터 원자력 기술을 도입하려고 노력해 온 한국은 1959년에 이르러 원자력원과 원자력연구소를 발족하며 원자력 이용과 개발에 필요한 체재를 갖추었다. 1962년 3월에는 연구용원자로 ... ...
2030년에 미니 빙하기가 온다고?
KISTI
l
2015.10.20
예측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소빙하기가 올 것이라는 예측에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명확
한 증거는 없으나, 어쩌면 15년 뒤 인천 앞바다가 얼어붙어 있는 모습을 다시 볼지도 모르겠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