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5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서 가까운 ‘트라피스트-1’ 지구형 행성 7개 “밀도 놀랍도록 비슷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결정하기 때문이다. 태양계에서 지구 외에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는 화성
표면
도 붉은 산화철로 뒤덮여 있다. 이번 연구에는 지금은 퇴역한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관측도 한몫 담당했으며, 허블 우주 망원경도 관측에 기여했다. 또 올해 10월 발사가 예정된 제임스웹우주망원경도 트라피스트 ... ...
[과학게시판] GIST. 리튬황 배터리 수명 늘린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이달 26일 밝혔다. 리튬황 배터리 양극에서 생기며 방전을 일으키는 폴리설파이드를 양극
표면
에 흡착시킬 수 있어 배터리 성능 지속기간을 기존 배터리 대비 1.5배 높였다. 연구결과는 19일 국제학술지 ‘켐서스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 배정효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단 ... ...
모더나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대응할 백신 촉진제 개발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않는다”고 밝혔다. 보통 단일 클론항체를 활용하는 항체치료제는 코로나바이러스
표면
의 스파이크단백질에 결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항체만 선별해 만드는데 스파이크단백질 일부에 변이가 발생할 경우 단일 클론항체가 잘 듣지 않기 때문이다. 파우치 소장은 또 “영국에서 발견된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아포피스를 돌며 아포피스의 자전 특성과
표면
지형을 관찰했다. 2029년 7월에는 아포피스
표면
으로 내려가 초소형 로봇을 내려놓고 시료를 채취하는 데도 성공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이달 25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에서 열린 제3회 과학기술미래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서 ... ...
[팩트체크]반려동물 코로나19 감염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코로나19에 감염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동물마다 코로나19
표면
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숙주동물을 감염시킬 때 결합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체 단백질과의 결합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숙주 세포의 ACE-2 단백질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뤄지지 않으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2021.01.25
9 백신이 아단위단백질백신에 해당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표면
에 있는 스파이크단백질만을 항원으로 이용해 백신을 개발했다. 해외에서는 미국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 ‘NVX-CoV2373’이 아단위단백질백신이다. 현재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으로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관측한 블루 제트
동아사이언스
l
2021.01.23
21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본 블루 제트(Blue Jet)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지구
표면
에서 블루 제트가 파랗게 빛나는 모습을 표현했다. 다만 실제 촬영본이 아닌 상상도다. 블루 제트는 번개의 한 형태로 구름 꼭대기에서 성층권으로 솟아오르는 형상을 보인다. 뇌우에서 발생한 대전 입자들이 ... ...
英 변종에도 정상 작동…화이자 백신 효과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대응할 중화항체가 형성돼 있었다. 연구팀이 혈액 샘플을 변이 바이러스와 동일한
표면
단백질을 갖도록 합성한 바이러스와 반응시킨 결과 기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중화항체가 변이 바이러스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와 ACE2의 결합을 방해하는 정도를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수분이 많은 바위
표면
에도 강하게 들러붙어 있을 수 있다. 억지로 떼어 내면 바위
표면
이 떨어져 나올 정도로 접착력이 강한데 몸속에서 단백질로 이루어진 강력한 수중 접착제를 만드는 게 비결이다. 이 접착단백질을 활용하면 접착력이 강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생분해되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백신, 코로나19에 맞서는 인류의 신무기
2021.01.19
분해된 항원의 조각이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의
표면
에 제시(presentation)된다. 이때
표면
에 제시된 조각된 항원과 대응되는 구조의 수용체를 갖고 있는 T세포와 B세포가 이를 인식하고, 특이적으로 성숙과 증식을 한다. 감염된 세포는 세포독성T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B세포에서 분화된 형질세포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