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진화론의 산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진화의 실험장’이다. 또 열수분출공 주변에서 다양한 생물군집을 발견함으로써 지구
생명
탄생의 신비를 풀 수 있는 해답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한편 갈라파고스가 진화론과 열수분출공 이외에 우리에게 또 어떤 충격을 던져줄지 기대된다. 그리고 1백60여년 전 다윈이 이곳의 생물들을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연구원들은 모험을 감수해야 했다. 대표적인 예가 상원의원 브라이언에 의해 취소된 외계
생명
체탐색(SETI) 프로젝트였다. 다행히 스필버그 등의 스타들이 후원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천문단체인 행성협회 등에 의해 맥이 이어지고 있다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수행하는 차세대 프로그램이다. 첫 은하가 형성되고, 이어 별과 행성계의 태어나고,
생명
체들이 탄생하는 등 시간을 초월한 심원한 의문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오리진스는 초기우주에 대한 연구와 전대미문의 외계행성을 탐색하는 프로그램이다.오리진스 프로그램 중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만날 확률이 많다고 말한다. 천문학적 시공간 단위를 필요로하는 우주여행의 특성상
생명
체보다 훨씬 수명이 긴 로봇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류가 태양계 바깥으로 내보낸 파이어니어나 보이저 탐사선들도 모두 무인 로봇이다. 그들은 아득한 미래에 머나먼 외계에서 우리의 외교사절 ... ...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뜻이라고 하니 항체는 분명히 몸의 안전판이라 하겠다. 이것이 무너지면 몸은 거덜나서
생명
을 잃는다. 면역을 나눠 보면 세포성면역과 항체성면역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흉선에서 만들어지는 T세포가 관여하는 것으로 직접 항체를 만들지 않고(항체를 만드는 것을 돕기는 한다) 병원균이 칩입하면 ...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발상은 목적이나 효과를 따지기 이전에 가장 위험천만한 발상이며 자연파괴이자
생명
파괴의 전주곡이다.8 충치예방에 도움이 된다면 넣어도 무방하지 않는가?백보 양보해서 설령 충치예방에 도움이 된다 할지라도 수돗물에 불소를 투입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반대론자들의 입장이다. 사람이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것이 생물의 활동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비록 화성에서
생명
체의 증거는 찾지 못했지만 바이킹 착륙선과 궤도선은 5만장의 사진을 촬영해 지구로 전송했다. 이를 통해 화성의 날씨 등 그 신비가 한꺼풀 더 벗겨졌다.1980년대 이후 NASA는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타입의 별로 행성계를 거느리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일찍부터 지능을 가진 외계
생명
체가 있음직한 장소로 여겨졌고, 아직도 천문학자들의 주목을 받고있다. 태양계에서 11.68광년 거리에 있고 18번째 가까운 별이기도 하다.조각실자리와 봉황새자리고래자리에서 더 남쪽인 지평선 부근에는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한가지 문제가 남았다. 총맞은 자리가 아물지 않아 지름 1cm 정도의 구멍이 남은 것이다.
생명
에는 지장이 없는 문제였다. 하지만 붕대로 압박하지 않으면 위에 들어간 음식이 구멍으로 스며나와 불편했다.시간이 지나면서 구멍에는 자연적으로 얇은 막이 생겼다. 손가락으로 누르면 안쪽으로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된 것이다. 안전한 수혈이 가능해짐으로써 헤아리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수많은 사람이
생명
을 구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출혈 문제를 극복하게 된 외과의사들이 더욱 과감한 수술을 함으로써 외과의 발전도 가속화됐다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