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d라이브러리
"
다른사람
"(으)로 총 9,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생물체 설계하는 바이오캐드
과학동아
l
200611
‘구슬이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같은 구슬도 어떻게 꿰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진다. 기존 생물학이 구슬을 만드는 학문이라면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만든 구슬을 가치있게 꿰는 학문이다.인간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롯해 매년 쏟아져 나오는 생물학 정보는 어마어마하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11
저울에 모니터를 달아 놓은 것처럼 생긴 검사기 발판에 올라가 줄넘기를 잡듯이 지그시 손잡이를 잡고 있으면 검사기는 이내“비만!”하고 외쳐 댄다. 아주 간단하고 냉혹한 방법이지만 체성분 검사기는 몸을 이루는 성분을 측정해 이상유무를 알려 준다.생명 위협하는 비만비만을 흔히 만병의 원 ... ...
은하수를 건너가는 이삿집을 위한 그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11
우리 집안이 아주 먼 곳으로 이사 가게 된 것은 어느 화창한 봄날, 아버지가 온 식구들이 모인 자리에서 ‘아무래도 몸이 너무 아프다’ 라고 호소한 지 3년 째 되는 해, 한 시간 남짓이면 갈 수 있는 거리를 가는데 걸린 수많은 일들을 지나친 무렵이었다.이사 마지막 날, 뒷정리 할 몇몇 젊은이들을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11
"온 나라 전체 인민이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에서 일대 비약을 창조해나가는 벅찬 시기에 우리 과학연구부문에서는 주체 95년(2006년) 10월 9일 지하핵실험을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과학적 타산과 면밀한 계산에 의하여 진행된 이번 핵실험은 방사능 유출과 같은 위험이 전혀 없었다는 것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11
이제 노벨상은 세계 최고의 명예를 선사하는 상이 됐다. 그래서인지 과학자들은 점점 연구 경력의 정점에 있을 때가 아니라 비교적 나이가 들어서야 노벨상을 받는다. 이러다 보니 처음 노벨이 생각했던 것처럼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과학자가 상을 받고 이 상금이 그의 다음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11
“삐리리리~, 삐리리리~”무슨 일이든 해결하는 김 탐정의 자명종은 오늘도 여지없이 6시 45분에 시끄럽게 울어댄다. 뒤척이는 시간 9분과 세면하는 시간 6분을 더하면 정확히 7시가 된다. 80일간의 세계일주에 등장하는 필리어스 포그만큼이나 시간 관리가 철저하다. 세수하고 나서는 e메일을 확인하 ... ...
식초, 과연 몸에 좋은가?
과학동아
l
200611
올해 음료시장의 트렌드는 단연 식초다. 식초를 마시면 온갖 질병이 사라지고 심지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식초의 효능을 체험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쏟아져 나오면서 식품업계는 앞다퉈 새로운 식초음료를 내놓고 있다. 식초와 식초음료에 대해 뭔가 알아야 마실지, 마시지 않을지 소 ... ...
7427466391.com
과학동아
l
200611
Q양수 n에 대해서 1과 n 사이에 숫자 1이 나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함수를 f(n)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f(1)=1, f(2)=1, f(13)=5이다. f(n)=n이 되는 첫 번째 양수는 1이다. 두 번째 양수는 무엇인가?A이 문제는 미국의 인터넷 검색 기업으로 유명한 구글(google.com)이 2004년 적성검사에 출제한 것으로 최근 몇몇 일간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11
한국은 북한의 공격에 대비해 경계 근무를 담당할 수백대의 로봇군인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 로봇은 휴전선을 따라 부족한 병력을 보충할 예정이다.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리보오스인 것을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라고 한다 후자는 리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11
중세인류는 지구 모양이 ‘둥근 구(球)’라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험난한 육로를 피해 바닷길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대부분의 항로는 해안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길 잃을 위험은 없었다. 그러나 범선을 타고 망망대해로 나가 목적지로 향하는 일은 녹록치 않았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지구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