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있었다.하지만 산을 식품에 이용한다는 사실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도 많다. 가장
큰
우려는 건강에 대한 우려다. 혹시 문제는 없을까. 일단 식품 공정에 산을 이용하는 것 자체는 안전하다. 묽은 산을 이용하는데다 엄격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김왕준 동국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는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여행 콘텐츠를 개발해 본격적인 시장 경쟁에 뛰어들었다. 게임업계는 HMD의 가장
큰
무대 이자 수혜자다. 애플의 앱스토어 같은 콘텐츠 시장인 ‘오큘러스 쉐어’에는 벌써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가 약 300여 개 올라와 있다. 기자가 만났던 취재원들은 대 부분 10년 안에 HMD가 지금의 스마트폰 자리를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세포 밖에서 만들어진 크리스퍼를 세포 안으 로 전달하는 것도
큰
난관이다. 크기가 꽤
큰
Cas9 단 백질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아직까지는 우리에게 시간이 꽤 남아있다. 남은 시 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인간과 크리스퍼의 미래 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이 처음으로 가진 무서운 힘 을 어떻게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것을 알고 계십니까? 환태평양 화산대에서 멀리 떨어진 화산이 어떻게 그렇게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가는 아직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미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 숙제를 풀기 위해서 북한과 서방의 과학자들 간의 꾸준한 연구협력이 진행 중입니다.앞에서 말씀드린 과학적 주제들의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랑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작은 동물이라고 하더라도 지구 전체에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그들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하나밖에 없는 ‘집(지구)’이 망가져 버릴 거예요.Q 에도 주변에 있는 생물을 탐사하는 ‘지구사랑탐사대’가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원에게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있어요. 방사선은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해요. 방사선은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나 식물에 방사선을 쪼이면 짧은 시간 안에 돌연변이 품종을 만들 수 있지요.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에는 방사선으로 육종 실험을 하는 방사선육종연구센터가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낼 때 들어가는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 보고 있어요.모이어보다 훨씬
큰
‘플라스틱 원반’도 있어요. 미국 콜로레도대학교 연구팀과 NASA가 공동으로 만드는 초대형 우주망원경 ‘아라고 (Aragoscope)’가 그 주인공이지요. 아라고는 지난해 6월 NASA가 상상 속의 기술을 현실에 구현하기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말을 실감할 수 있어요. 여러분이 앙코르 유적지에 올 때는 더 많이 공부해서 더
큰
감동을 얻어가길 바랍니다. 앙코르 유적지에는 앙코르 와트나 앙코르 톰, 프놈바깽 외에도 멋진 사원들이 정말 많답니다. 거대 신전의 모델이 된 바꽁 사원이나 스펑나무의 거대한 뿌리에 뒤덮여 생사를 함께 하고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연구를 시도했다.인기 음악의 색깔은 ‘분홍색’낮은 음(작은 진동수)부터 높은 음(
큰
진동수)까지 쭉 이어지는 소리를 들으면 음량이 일정해도 소리가 점점 커지는 것처럼 들린다. 높은 음일수록 공기가 많이 진동해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1옥타브만큼 높아지면 소리는 3dB(데시벨)만큼 크게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우려한다. 바로 ‘나비효과’ 때문이다. 사소한 변화가 증폭해 전혀 예상치 못한 크나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한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이로 인해 다른 한쪽에서는 태풍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