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유 없이 ‘콕콕’ 만성통증, 10년 연구 끝에 원인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세포
를 녹이거나 뚫어 파괴한다. 오 교수는 인위적으로 이 신호 단백질만 늘려도 면역
세포
가 신경 조각을 깨끗이 제거하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에서 확인했다. 만성통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방법을 찾은 것이다. 난치성 만성통증의 유력한 원인과 치료법을 제시했고 의·생명과학자의 평생 꿈 ... ...
머릿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지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기법으로 강화하자 공포반응 감소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광유전학은 빛을 쏘여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반대로 신경회로를 억제하자 공포반응이 줄어드는 효과가 사라졌다. 신희섭 단장은 “이전까지 경험상으로만 알고 있었던 심리치료법의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한 것은 ... ...
탈모 치료할 모유두
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이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기존 탈모 치료용 약물이나 모발이식법을 대체할 새로운
세포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2020년에 탈모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 4일자에 발표했다.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
소기관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RNA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각 생명체마다 가장 적합하게 진화한 한 가지 종류의 rRNA를 갖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 ...
호주 연구진 "벌크업 단백질보충제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모양을 바꾸거나 분해해 에너지 생산 기능을 떨어뜨리고,
세포
괴사를 일으켜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켰다. 초기에는 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몸을 망칠 수 있다는 얘기다. 로저스 교수는 “L형 노르발린이 발린을 흉내 내 단백질 합성과 여러 물질대사에 관여하기 때문”이라며 ... ...
하루 3번 양치하면 심혈관계 질환 위험 낮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약 14%가량 감소했다. 연구팀은 구강 내 만성 염증이 혈관질환을 악화시키거나, 면역
세포
를 과활성화해 자기 혈관을 공격할 수 있으며 규칙적인 양치와 스케일링 습관이 이를 막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박신영 교수는 “세균은 치아에 붙은 채 놀라운 번식력으로 수 시간 내에 수천, 수만 마리가 ... ...
EU, ‘1조2000억원 짜리’ R&D 빅프로젝트 본격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패턴을 찾아낸다. 독일 베를린대 의대가 제안한 ‘리스토어(RESTORE)’란 프로젝트는
세포
와 유전자 치료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암과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큰 희망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복잡한 과정과 비싼 비용 탓에 잘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것이다. ... ...
소리 쏘아
세포
의 말랑함 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알려진 사실들을 이 기술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분 가까운
세포
의 분열과정에서의
세포
강성 변화도 측정할 수 있음도 보였다. 강 연구원은 “이 기술은 피층 속 액틴 단백질의 움직임을 단백질 염색이나 침습적 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보는 원리”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 같은 작은 입자의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
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접할 수 있는 곳이다. 얕은 바다는 미생물이 뭉쳐 있어 먹이도 풍부하다. 다만 현재의 다
세포
생물이 이번에 발견된 화석 속 생물의 직접적인 후손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생물은 계속 살아남아 진화적 혁신을 이어 갔을 수도 있고, 생존 실험에 실패해 대가 끊겼을 수도 ... ...
암 유발 후성유전 인자 ‘히스톤 단백질’ 변성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조절할 수 있는 표적을 규명한 것”이라며 “H3 메틸화 제어를 통해 줄기
세포
분화나 암
세포
분화 및 역분화를 통해 조절되는 다양한 질환 치료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