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01
원주상에 형광체 면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화면은 어쩔 수 없이 볼록한
모양
이 되고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평면보다 왜곡된 상을 볼 수밖에 없다. 결국 CRT면을 평면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서는 곡률 반경을 크게 해야 할텐데 그러면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전체 크기가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01
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어느 순간에는 각각의 행성들이 놓여있는
모양
이 십자가
모양
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행성들의 공전은 우주공간에서 보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가 어느 날 하루에만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고 며칠씩 계속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느 날 행성의 배치 때문에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01
우리의 피부색을 만들게 된다. 멜라닌세포는 나뭇가지
모양
의 수많은 돌기를 가진 특수한
모양
을 띠고 있다. 이 돌기를 통해 1개의 멜라닌세포는 36개의 각질형성세포에 멜라노좀을 공급한다. 멜라닌색소는 고열에서 끓여도 분해되지 않는 매우 안정된 화합물이다.멜라닌색소는 비단 사람에게만 ... ...
최초의 공룡 피부화석
과학동아
l
199812
많은 공룡의 알이 쌓이게 된 것이다.이 알들의 주인은 누구일까? 하나의 배(胚)는 연필
모양
이빨을 적어도 32개나 가지고 있다. 백악기 말기에 이러한 이빨을 가졌던 유일한 공룡은 초식공룡의 일종인 티타노사우루스, 근처에서 티타노사우루스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 가능성은 더욱 ... ...
살아있는 화석
과학동아
l
199812
전부터 알려진 물고기로, 그들은 이를 ‘바다의 왕’이라고 불렀다. 아마도 그
모양
이 흔치 않아서 그랬던 것 같은데 고기맛은 없어 아주 싸게 팔렸다. 물론 코모로 군도에서 잡힌 실러캔스의 고기맛도 마찬가지다.인도네시아에서 실러캔스가 발견됨으로써 코모로 군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12
이들에게 노벨화학상을 안겨준 물질이다. 풀러렌은 축구공을 1억분의 1 정도로 축소시킨
모양
을 가진다.나노튜브의 둥근 끝부분은 풀러렌을 절반으로 나누었을 때의 형태와 비슷하다. 물리적·화학적 성질도 유사하다. 따라서 풀러렌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나노튜브의 끝부분끼리 연결하는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12
아니라 감각자극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고 체온이 유지되는 데다가, 특히 특정한
모양
의 뇌파가 나타나는 것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한 동물들을 비롯해 어류나 양서류의 경우에도 움직임 이 없는 휴식기가 있지만, 그 이외의 수면의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12
이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가 자연스럽게 길러지는 것 이다. 진흙을 가지고 배
모양
, 공
모양
을 만들고, 시계를 보면서 그 안이 어떻게 돼 있을까 궁 금해 뜯어보는 것, 나무 위에 올라가 나무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세상을 쳐다보는 것 등 이 우리의 사고를 풍족하게 해준다"목수가 연장 탓하는 일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12
크기로 또 알맞은 형태로 만들어 내는 것이 도마다. 지금도 시골에 가면 무쇠 칼과
모양
이 예쁘지 않은 두꺼운 도마를 찾아볼 수 있다. 예전에는 굵은 통나무를 그대로 잘라서 밑면을 편편하게 만든 도마를 사용했다. 그러 나 근래의 주방에서는 깨끗해 보이는 하얀 플라스틱 도마를 많이 사용한다.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12
반면 영하 15℃ 근처의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에서 형성된 눈은 주로 예쁜 별
모양
이나 꽃
모양
결정이 만들어고, 결정들이 주변의 결정과 결합하면서 더욱 성장해 함박눈을 만든다. 그러나 함박눈 송이는 결정들이 단단하게 뭉쳐있지 못하고 엉성하게 끝을 맞대고 붙어있다. 이들이 땅에 닿으면서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