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인간이 온갖 색으로 장식을 한다. 어느 예술 작품보다 아름다운 그림이 바다를 찍은 위성 사진이다.9년전 나이아가라 폭포 앞에서 캐나다로 이민을 떠난 중학교 동창과 컵라면을 먹은 적이 있다. 그 먼 곳에서 죽마고우를 만나 겨우 라면인가 싶지만 세상 어느 음식보다도 따듯한 맛이었다. 그때 ... ...
- 반짝반짝 작은 별~♬, 케플러의 별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와~! 아빠, 이렇게 큰 별자리 지구본은 어디서 구하셨어요?”“하나랑 두리랑 겨울 별자리 보려고 이 아빠가 큰 맘 먹고 준비했지. 하하!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렴. 저기 오리온자리가 있구나!”“저런 별이 제 방에도 있으면 좋겠어요.”“별을 따올 수는 없지만, 방법은 있지! 예쁜 별을 만들어 볼 ...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성층권까지 올라가 우주와 지구를 감상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해요.19세기 사진가 나다르(Nadar, 1820~1910)는 최초로 열기구를 사용해서 공중촬영을 시도하기도 했죠. 열기구는 요즘은 이동수단으로는 잘 쓰이지 않고 주로 레저, 관광용으로 쓰인답니다. 호주 캔버라 열기구 축제에 ...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에휴~, 큐브에 매달린 지 벌써 5년. 하지만 아직도 그 답을 모르겠어. 이브는 어떻게 이 큐브를 단번에 맞춘 거지?앗! 내 소개가 늦었군. 난 무엇이든 큐브 모양으로 만들어 버리는 폐기물 수거 로봇 월-E야. 최근 업그레이드 돼서 말도 술술 잘해. 그런데 2008년 지구로 돌아온 이후 뒤죽박죽 섞인 이 큐 ...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수학동아 l2012년 02호
- 관중석을 만들었다. 반면 로마 시대에는 콜로세움처럼 언덕이 없어도 아치를 이용해 경사진 관중석을 만들었다. 이 곳의 관중석은 그리스 극장의 바깥쪽에 로마 원형극장을 덧붙인 모양으로, 그리스와 로마의 원형 극장 양식을 모두 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다.당시 이 극장은 남녀 신분에 상관없이 ... ...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선생님, 수학이 두려워요!오~, 이런! 수학이 너무 거대하고 무시무시해 보여서 겁을 잔뜩 먹었군요. 그럼 먼저 13세기 중국의 수학자 ‘이치’가 쓴 에 실린 재미난 문제 하나를 얘기해 줄게요.어때요? 인수분해를 이용해 문제를 풀어 보니, 점점 간단해지는 것을 느꼈나요? 이렇게 다항식 ...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가입한 다른 사람들과 운동량을 경쟁하도록 해준다.가상씨는 며칠 전 커뮤니티 회원들의 사진에서 눈에 띄는 여성 회원을 발견했다. GPS 기능을 켰더니 가상씨와 그녀는 비슷한 코스를 달렸다. 왠지 모를 경쟁심과 그녀에 대한 호기심은 나이키플러스가 가져다준 또 다른 즐거움이다. 샤워를 하고 ... ...
- 삼한사온은 신기루?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않았을 터이기 때문이다. [정확히 한반도의 북서쪽에 자리잡은 바이칼 호수 위성 사진. 이곳의 결빙과 주위 적설 시기, 적설량이 시베리아 기단의 한랭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 겨울 기온을 지배하는 주연과 조연은?러시아 시베리아 남동쪽에 있는 바이칼 호수는 정확히 한반도의 북서 ... ...
- 사랑을 찾는 동식물의 예술작품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모양이 영락없는 별이다. 그래서 이름이 별과일(스타프루트, Averrhoa carambola)이다(167쪽 사진).특이하게 예쁘고 향긋하게 맛있는 작품열대와 아열대에서 자라는 식물 중에는 특이한 예술품을 만드는 것들이 많다. 기다란 벌집처럼 생긴 몬스테라(Monstera deliciosa Liebm)는 생김새도 희한하지만 바나나와 ... ...
- 원시인은 식인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스케치(가운데). 칼자국이 뼈의 끝 부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왼쪽 위 전자현미경 사진은 뼈를 받친 모루에 긁힌 자국, 아래는 칼자국이다 . 오른쪽 위는 두개골, 아래는 턱뼈의 돌도끼 자국이다.]‘식인종’은 착각?러셀 교수가 이 논문을 발표한 1980년대에는 인류학계에 ‘식인종은 없다’는 생각이 ... ...
이전4494504514524534544554564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