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01
과정은 이와 비슷하다. 쇠구슬은 원자고 자석막대기는 원자 사이의 결합선이다.분자
세계
의 자석레고는 구슬의 종류에 따라 붙일 수 있는 자석막대기가 1~4개로 정해져 있다. 탄소 구슬은 막대기를 4개까지 붙일 수 있어 탄소 구슬만 갖고 만들 수 있는 물질의 수가 다른 구슬에 비해 많다.변화무쌍한 ... ...
신(新) '
세계
7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200701
‘불가사의’바빌론의 공중 정원,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세계
7대 불가사의로 알려진 건축물들이다. 그러나 기자의 피라미드를 제외한 나머지 6개는 전쟁 ... 검토를 거쳐 21개의 후보를 추려냈다. 온라인과 전화 투표로 선정될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는 오는 7월 7일 발표될 예정이다 ... ...
2006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701
22일자에 2006년 과학 10대 뉴스를 발표했다.사이언스는 러시아 수학자 그레고리 페렐만이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한 사건을 1위로 꼽았다. 푸앵카레 가설은 우주 공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원리다.2위는 네안데르탈인과 맘모스 DNA 염기서열 해독, 3위는 그린란드와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01
腦症狀)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유행성·악성·리케차성 전염병 1969년 7월 개정된
세계
보건기구(WHO)의 보건규칙에 의해 정해진 국제감시전염병의 하나이기도 하다병원체는 리케차 프로바제키이다1888~1956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A 코셀의 아들 14년 원자물리학을 연구하고 X선 스펙트럼의 방출기구에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01
얼굴 사진을 저장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와 초상권 침해 논쟁이 있지만 9.11 테러 이후
세계
적으로 보안 강화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얼굴 인식기술의 효과는 부각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당신 얼굴의 진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2. 부모 얼굴, 골라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다 빈치의 ‘모나리자’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세계
에서 가장 유명한 초상화다. 그런데 아직 모델의 성별은 불분명하다. 신비한 미소를 띤 표정에서 여자라고 추측할 수 있지만 모나리자가 여장 남자라는 주장부터 양성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얼굴만 보고 남자와 여자를 구분할 수 있을까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01
TDX) 개발을 주도했으며, 1990년대에는 코드분할다중방식(CDMA)의 이동전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다. 우리나라 통신 현대화의 큰 뼈대는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고 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요즘 비보이(B-boy) 춤이 정말 멋져 보이죠? 어깨 탈골은 물론 인대나 연골 파열 같은 위험이 굉장히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교수의 열정은 고국에서 활짝 꽃폈다. 꾸준한 노력은 그 성과를 드러냈고, 현재 연구단은
세계
적 수준인 200아토초 펄스를 만드는데 성공했다.200아토초는 얼마나 짧은 시간일까. 남 교수는 “200아토초가 1시간에서 차지하는 순간은 150억년에 이르는 우주의 나이에서 1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보다도 ... ...
6세부터 106세까지 꿈의 장난감
과학동아
l
200701
놀이를 할 수 있다. 재미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전
세계
50여 개의 유명 완구상을 휩쓴 로켄복 시스템. 컴퓨터 게임에 빠져있는 청소년들에게 꿈의 장난감을 선물해보는 것은 어떨까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01
박사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그 실마리를 확실히 풀어냈으니, 이는 역사적 결과였다.
세계
주요 언론은 새 이론에 ‘암흑’에너지의 신비를 밝혔다는 의미에서 ‘광명’이론(bright theory)이라는 별칭을 붙였으며 이제 광명이론이 상대성이론이나 양자론에 버금가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