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진행됐던 772번의 게임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발견해 2013년 스포츠물리교육지에
발표
했다. 레이트 박사는 전·후반 90분을 15분씩 나눠서 각 단위마다 골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분석했다.총 2208골이 터졌는데, 골이 가장 많이 들어간 시점은 ‘마지막 15분’이었다. 전반전(43.07%)보다 후반전(54.44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유지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올해 2월 13일자에
발표
했다. 최근 여러 언론에서 보도돼 화제가 된 그 논문이다. 다양한 파장에서도 물체를 투명하게 만들다 “사실 휘거나 접는다는 사실 외에 중요한 점이 따로 있어요. 2~18GHz 파장대의 빛에서 모두 물체를 감출 수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주황색 컵에 담아 마실 때 더 맛있게 느껴진다는 연구로 ‘감각연구저널’ 1월호에
발표
됐다. 흥미로운 것은 미색 컵에 담긴 핫초콜릿이 더 달고 향기롭게 느껴졌다는 점이다. 커피 광고에서 왜 커피가 항상 크림색 컵에 담겨 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추가로 음료를 담는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된다고 반박하는 학자들도 있지요.올해만 해도 결론이 서로 다른 논문 두 편이 나란히
발표
됐습니다. 2014년 ‘미국영장류학회지’에는 3원색 구분 능력이 포식자를 피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실렸습니다. 반면, 지난 1월 저널 ‘플로스원’에는 신세계원숭이를 26년 간 장기 관찰한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영국 과학자들이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어요.우리 눈은 빛이 수정체를 지나 망막에 상을 맺는 원리로 사물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자외선은 수정체를 통과하지 못해요. 그래서 사람은 자외선을 볼 수 없답니다.사람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은 빨주노초파남보처럼 ... ...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수학자인 왕 즈지엔 교수가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발표
했다.연구팀은 실험에 참여한 72명을 12명씩 6개 팀으로 나눠 각각 300번의 가위바위보를 하도록 했다.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이긴 횟수에 따라 승리 수당을 부여하여 참가자들이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달리 탄착점이 일정하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해 2014년 ‘사이언티픽리포트’에
발표
했다.축구공은 패널 수가 줄어 구에 가까워질수록 원하 는 방향으로 정확히 날아간다. 지난 수십 년간 패널 수 는 계속 줄어드는 쪽으로 진화했다(50~51쪽 참조). 그 런데 공이 완전한 구에 가까워지면 새로운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능성이 높다. 미국 메릴랜드대 천문학과 더글러스 해 밀턴 교수팀이 2006년 ‘네이처’에
발표
한 연구에 따르면, 트리톤은 원래 명왕성처럼 해왕성의 외곽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왜소행성 이었다. 트리톤에는 늘 함께 붙어 다니는 짝 이 하나 있었는데, 어느 날 우연히 해왕성의 근처를 지나다 3체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찾아낸 중력파의 흔적이 진짜 흔적이 아닐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 설명했다.6일
발표
된 플랑크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은 이르면 올해 10월 완성된다. 연구의 최종 성공 여부는 그 때 확실해질 것이다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초기에 산화 유기물이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사이언스’ 5월 16일자에
발표
했다.구름은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구름이 만들어지는 복잡한 과정이 불분명해 기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과학자들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 입자에 수증기가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