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생물"(으)로 총 6,5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9기 온라인 수료식공지사항 l20211119
- ~두 지사탐 수료식에 초대손님으로 모십니다~! 장이권 탐사대장님과 어과동 편집장님, 지사탐 매니저, 그리고 지사탐의 17종 생물종을 연구하는 멋진 연구원님들 모두 온라인 수료식에 함께할 예정이에요^^ 수료식에서 즐길 수 있는 볼거리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한 해 동안 모인 탐사기록이 어마무시하다는 소문 ...
- ꧁༺어룡과 수장룡 배틀 토너먼트༻꧂기사 l20211118
- 일단 토너먼트를 시작하기 전, 어룡과 수장룡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어룡은 중생대에 살았던 바다 생물로,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처음 나타났으며, 쥐라기 초기까지는 크게 번성했으나 쥐라기 중기부터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 공룡들의 멸종 시기보다 훨씬 이른 시기인 백악기 중기에 절멸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상어에게 생활권이 뺏 ...
- 아닌 밤중에 홍두깨! 하늘에서 뚝 떨어진 재미난 책을 소개합니다~기사 l20211117
- 남자를 만나 여행하게 되는 이야기랍니다^^. 굉장히 길다고 생각되는 분량이지만, 그만큼 내용이 풍부하며 이 작가가 생각해낸 바닷속 생물은 어마무시해요!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80일간의 세계 일주'! 저는 이 책 초반에서, 조금 지루함을 느꼈는데요, 아마도 옛날이 이 시간의 배경이 되고 쉽게 접하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었기 때문인 ...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기사 l20211117
- 훼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적 접근- 안양천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의 사례 를 주제로 발표한 분들이 대상을 받았습니다. 생물다양성 세션의 박정우 연구자님은 지구사랑탐사대 조류 연구원님이기도 하셔서 수상 소식이 더욱 반가웠습니다. 다시한번 정말 축하드립니다!!! 이렇게 올해의 제3회 환경학술포럼이 종료되었습니다. 제가 작년 2회 환경학술포럼 ...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존했을까?기사 l20211116
- 항온성이며 젖을 새끼에게 먹이는 측면에서는 포유류가 분명하지만,파충류처럼 알을 낳기 때문에 분류가 애매했습니다. 그래서 생물학자들은 '알을 낳는 포유류'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공류'라는 새로운 분류군을 만들어서 여기에 오리너구리를 편입시켰습니다. 현재 단공류에는 오리너구리1종과 4종의 가시두더지가 전부입니다. 도대체 오리너구리의 알을 낳는 ...
- [쥬라기 월드-7] 날렵한 모습은 바로 그곳에! 데이노니쿠스기사 l20211116
- 안녕하세요, 박시후 기자입니다. 오늘은 갈고리발톱이 특징인 소형 공룡, 데이노니쿠스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www.istockphoto.com/kr/search/2/image?istockcollection=&phrase=%EB%8D%B0%EC%9D%B4%EB%85%B8%EB%8B%88 ... 아니였다면 우리는 공룡을 훨씬 다르 ...
- 가장 키우기 쉬운 도마뱀은 무엇일까?기사 l20211116
- 네? 뭐라고요? 파충류가 느리고 징그러운 생물이라고요? 하지만 여러분의 생각은 틀렸습니다. 위 사진을 보세요. 매우 귀엽죠? 이게 바로 파충류입니다. 오늘은 애완 도마뱀을 알아볼 것인데요. 그중에서도 초보자가 기르기 쉬운 파충류 5마리를 소개할 겁니다! 초보자분들은 그중에서 한 가지를 고르면 됩니다.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1.레오파드 ...
- [다이노 월드-13] 공룡 역사상 가장 큰 경쟁, 마쉬와 코프기사 l20211115
- 정확히 계산해 봐도 이들이 발견한 공룡은 현재까지 발견된 공룡 중, 1/9에 다다른다는 점 알고 계신가요? 둘은 경쟁했지만 이가 고생물학계에는 좋은 결과를 준 것 같습니다. 덕분에 더 많은 공룡이 보고되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둘의 경쟁은 사라질 뻔한 브론토사우루스에 관한 연구 등 생각지도 못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마쉬와 코 ...
- [이야기클럽]장산범(노래 '장산범' 2차 창작)-잔월효성/박한별포스팅 l20211115
- 일종의 환각을 일으켜 사람의 경계심을 없앤다고 한다. 때문에 분명 모습은 호랑이인데 사람으로 인식하게 된다고. 거기다 생물의 목소리를 정확히 묘사하는 재주가 있다고 한다. 심지어 죽은 이의 목소리까지 한 번 들으면 흉내 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말이 있다. 기억하지 우리 ...
- 완도생물탐사대 - 211115 - 2탐사기록 l20211115
- ...
이전4514524534544554564574584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