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좌표 위에 선 χ의 변신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좌표 위의 여러 점으로 표시할 수 있었어. 누구든 좌표가 가리키는 숫자만 알면 같은
모양
의 도형을 그릴 수 있게 됐지.데카르트와 같은 시대를 지냈던 프랑스의 천재 수학자 페르마는 x값, y값 외에 z값을 추가해 3차원 좌표를 제안했어. 데카르트가 평면 위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 기여했다면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마음이 더 아플지도 몰라요. 아이스크림 콘의 높이가 20cm라고 해 봐요. 원뿔을 뒤집은
모양
의 콘은 먹으면 먹을수록 원의 반지름이 줄어들지요. 즉 콘의 높이는 반지름과 같은 비율로 줄어든답니다. 우리가 궁금한 콘의 양(부피)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해요. 이 사실을 이용해 콘의 부피를 계산해 ... ...
세계일주를 함께 할 조수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보물 상자를 봐. 여기 자물쇠
모양
보이지? 상자를 열려면 일곱 개의 조각을 맞춰 이런
모양
으로 만들어야 해. 한번 해봐."꼬마는 땅에서 나온 일곱 개의 조각을 앞에 놓고 노려보고 있었다."음~. 이 조각 왠지 낯익어. 이건 유객판!"꼬마가 자신있는 표정으로 조각을 맞추기 시작하는데…. 4.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부분의 재결합’이라고 한다.주로 숫자를 이용해 계산하는 대수학과 달리 도형의
모양
이나 위치 등을 연구하는 분야도 있다. 바로 ‘기하학’이다.기하학은 영어로 ‘geometry’라고 한다. ‘geometry’는 그리스에서 온 단어인데 ‘geo’는 ‘땅’을 뜻하고, ‘metry’는 ‘측정하다’라는 뜻이다. 눈치 ... ...
실전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분석해서 쉽게 푸는 방법을 알아보자.실전문제 1 가로가 16cm, 세로가 20cm인 직사각형
모양
의 카드를 겹치지 않게 늘어놓아 될 수 있는대로 작은 정사각형을 만들려고 합니다. 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몇 cm입니까?해결 포인트 직사각형을 늘어놓아서 정사각형을 만든다면 그 정사각형은 ... ...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어 NASA나 MIT 과학자의 연구 도구로 이용되기도 한다.조노돔은 동그란 공에 구멍이 뚫린
모양
인 연결체와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인 연결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체와 연결봉을 연결해서 다양한 다면체(면이 다각형인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다.폴리드론은 다면체를 의미하는 '폴리헤드론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꽈배기가 돼 툭 하고 떨어졌다. 중화요리 전문점 현래장의 이성갑 주방장은 “꽈배기
모양
을 만들면 반죽의 결이 서로 교차돼 더 단단하고 치밀한 조직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주방장이 소다를 섞은 전분 가루를 반죽 위에 쓰윽 뿌렸다.이 주방장의 양손이 공중에서 만났다가 떨어질 때마다 ... ...
숨겨진 통로‘플랫폼 9와 3/4’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어 휴대전화 같은 전자장치를 만들 때 쓰는 아철산염(페라이트) 막대를 커다란 사각형
모양
으로 배열해 메타 물질을 만들었다. 메타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 존재할 수 없는 전자기적 특성을 갖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물질로 빛을 굴절시켜 뒤쪽으로 통과시키거나 물체를 실제보다 더 튀어나와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농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육종에 눈을 떴다. 그 결과 한국인의 식탁은 크기가 고르고
모양
이나 색깔이 맛깔스럽고 맛도 좋은 농작물로 채워졌다. 물론 농가의 소득향상에도 크게 기여했다.이곳 농업과 축산업 기술은 한국의 1970년대 이전 수준이다. 농작물은 병충해나 자연재해에 거의 무방비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서로 인접한 조사실에 신문을 받는 도중 두 조사실 사이에 설치된 투명한 창을 통해 입
모양
으로 ‘말하지 마’라는 의사를 전한다. 수사진에게 유리한 죄수의 딜레마 상황을 수사진 스스로 깨버린 셈이다. 결국 두 고등학생은 무죄로 풀려났다가 두나의 혼이 빙의된 하나에게 처참히 살해당한다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