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년"(으)로 총 12,9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수목원 제 15회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참가 후기기사 l20211018
- 이명주 매니저님, 그리고 다른 동아사이언스 직원분들을 만나뵈었습니다. 다들 오랜만이나 처음 뵙는 거라 반가웠습니다. 저는 고학년부여서 오후에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때문에 오전에는 시간이 조금 있어서 수목원 구경도 조금 하다 오후에 다시 휴게광장으로 왔습니다. 잠시 출발 전 체조를 하고, 본격적인 산림생물종 탐사를 하러 조 선생님들과 떠났습니다 ...
- [다이노 월드-2]가장 큰 공룡기사 l20211018
- 공룡이 맞습니다. 긴 앞다리가 주 무기고 기가노토사우루스보다 센 턱힘도 큰 무기가 됩니다. 1912년에 발견되었지만 발굴이 무려 4년이나 걸렸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표본은 제 2차 세계대전 때 불타 없어졌습니다. 전체 길이는 20m, 무게는 11t정도입니다. (모델링 분석 결과 앞다리의 위력이 차 한 대를 거뜬히 부술 정도. ...
- 왜 여자가 남자보다 보편적으로 오래 살까?기사 l20211018
- 걸 보여주죠. 출처: 픽사베이 Q. 그렇다면 과거에는 수명이 더 짧았는데 그 때는 남녀의 수명 차이가 어땠나요? A. 19세기(1800년 대)에는 대체적으로 남자의 평균 수명이 여자의 평균 수명보다 길게 나타나 최근 통계와는 반대되는 결과가 나온답니다. 그런데 왜 19세기에는 남자가 더 오래 살았을까요?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 ...
- 우리들도 노벨상 받을꺼야! 어린이 노벨상!기사 l20211018
- %EC%83%81 노벨상. 알프레드 노벨이 1895년 쓴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죠! 1901년에 제정되면서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생리학·의학상, 노벨 문학상, 노벨 평화상 등이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있었던 노벨상 수상자 중 가장 어린 사람은 말 ...
- 마법 생물 사전_[프롤로그](2명선착특출)포스팅 l20211018
- !(+정령들은 자연의 힘으로 매년 1월1일에 태서나.두 정령이 정령숲 중앙에 있는 가장큰 떡갈나무 앞에서'자연의 맹세'를 하면 매년 1월 1일,떡갈나무에서어린 정령이 태어난단다!!) (특출2명)이름:나이:성별:특기:성격:종:(나이는 꼭 9살해주세요!특기는 생략 가능해요~자잘한TMI도 괜찮습니당!예:휘파람을 잘 불음특기나 성격은 바뀔 ...
- 행운의 숫자, 7!!기사 l20211018
- 숫자이니까요. '그런데 숫자 7은 어떻게 행운의 숫자가 되었을까?' 하고 궁금하지 않나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봅시다!! (사진 출처: [2020년 상반기] 일본 오리콘 앨범 랭킹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우리나라에서 행운의 숫자는 3과 7입니다. 대부분 3이 행운의 숫자인 것은 ...
- 도와주세요포스팅 l20211018
- 안녕하세요 저는 2018년 부터 읽었는데 중간에 로그인 계정을 잊어버려서 아이디는 간간히 기억나는데 비번은 완전히 잊어버렸어요. 그래서 엄마 구글계정으로 로그인 해서 글쓰고 있는데 이름 바꿔달라는 분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이름바꾸는법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정말감사해요. ...
- 기후변화에 대한 개인적인 짧은 소견포스팅 l20211017
- 인간을 배려하여 기다려줄 수 있을까요? 인간이 환경에 맞추어 진화할 거라는 의견도 없진 않습니다. 그러나 진화와 발달은 수천년에 걸쳐 이루어지는 반면 기후변화는 한순간입니다. 그리고 진화라는 용어의 뜻 자체가 현재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진화론에 따르면 '환경에 적합한 개체만이 생존하여 번식한다'라는 뜻입니다. 우리는 다가올 미래에 적합한 개체들일 ...
- 전염병 09장포스팅 l20211017
- 그리고 곧... 핸드폰이 꺼졌다. "어..어? 이,이러면 안되는데... 내일 긴급 뉴스 봐야되는데..." 잠깐의 정적이 흐르고 1학년부터 쓰던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10월 17일. 날씨: 추움 오늘도 역시나 아무것도 달라지지않았다. 아무것도..... 다연이는 오늘 쓰러져 내 곁을 떠났고 내 곁에는 이제 일기장 ...
- 글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다고?기사 l20211016
- 안경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안경을 쓴 사람은 선조(조선 제 14대 왕) 때의 문신인 김성일이에요. 그리고, 1614년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안경은 대략 200년 전 처음 있었던 물건이다'라는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오래 전이죠? 하지만 본격적으로 안경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 후기였습니다. 조선 ...
이전4524534544554564574584594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