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박사
과학동아
l
200811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X선 광전자분광법으로 알아낸다. 최근 Ge2Sb2Te5로 만든 PRAM에
데
이터를 쓰고 지우기를 반복하면 소자가 불능이 되는 이유가 8A 빔라인에서 밝혀졌다. X선광전자분광법 실험 결과 Ge2Sb2Te5가 산소와 결합해 불순물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이 내용은 내년쯤 논문으로 발표될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
과학동아
l
200811
말했다.동해특성연구부 민원기 박사는 깊은 바다 밑바닥에 사는 심해생물을 탐사하는
데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그동안 동해는 쿠로시오 한류와 북태평양 난류가 만나 명태나 오징어, 멸치 같은 전통적인 식량자원 어종이 풍부한 황금어장으로만 알려졌다.하지만 동해는 유용한 생체물질을 얻을 수 ... ...
융합은 아이디어의 보고(寶庫)
과학동아
l
200811
얼마나 열린 자세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고민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느냐는
데
있다.그래서인지 국내 연구 그룹이 발표한 우수한 논문을 이곳에서 접할 때면 얼마나 기쁜지 모른다. 이곳과 비교해 한국은 여러 면에서 상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더 나은 점이라면 열정과 의지를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11
표면장력은 물기둥 안쪽으로 작용한다.입과 목구멍 쪽에 동일한 표면장력이 작용했는
데
도 물이 입 쪽에서 목구멍 쪽으로 이동한 이유는 부리와 나란하게 작용한 표면장력의 크기가 입 쪽에서 목구멍 쪽으로 그 반대편에 비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동일한 표면장력을 갖는 상황에서 이런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11
상대적으로 컸는
데
김 교수는 그 이유를 “실험의 지진파는 2~5Hz 진동수가 우세했는
데
이 정도 고유진동수를 갖는 건물이 2~5층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과학동아 2007년 3월호1) 지진이 발생할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한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11
충돌하는 장면을 생생하게 보여줬고, 우주의 나이가 137억 살이라는 사실을 알아내는
데
결정적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다.당초 수명이 15년이었던 허블우주망원경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간 우주인이 우주유영을 하며 수리하는 과정을 4번이나 거치며 수명을 연장해왔다. 2009년 2월, 5번째이자 마지막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균형 잡힌 미각을 가진 주부들입니다. 이 분들의 평가가 제품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요.” 김 센터장의 설명을 들으며 진지하게 맛을 평가하고 있는 모니터 요원들을 둘러봤다.“요즘 MSG를 쓰는 주부들이 있나요? 저희들은 맛만 봐도 MSG를 썼는지 알아요.” 모니터에 참가한 주부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11
박사가 다윈의 비글호 항해를 그대로 따라가고자 지난 10월 9일 장보고호를 타고 출항했는
데
, 특별전에서는 장보고호의 항해 근황을 볼 수 있다. 권 박사에게 직접 편지를 보낼 수 있는 창구도 있다.체험프로그램으로는 다윈의 어린 시절을 맛볼 수 있는 ‘다윈의 놀이터’, 소형 비글호에 올라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11
김동훈(05학번) 씨는 “프로젝트를 하며 경험과 실력을 쌓을 뿐 아니라 로봇을 만드는
데
필요한 비용도 마련할 수 있어 일석삼조”라고 말했다.한국을 제패한 회원들은 이제 일본 정복에 나선다. 회원 11명은 11월 21일~ 23일 ‘전 일본대회’에 참가한다. 회장 원재승(04학번) 씨는 “반드시 우승해서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100배가량 강도가 높아 비행기 동체를 만들 수 있고 반도체와 나노로봇을 만드는
데
도 쓸 수 있어 나노기술 분야의 팔방미인으로 평가받는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2007년 5월호에 발표됐다. 그 뒤 미국화학회가 화학 분야에서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