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과학동아 l201212
- 011fe를 관측했다.이 초신성은 1a유형으로 폭발할 때의 밝기가 항상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 관측할 때의 밝기를 측정하면 실제 밝기와 비교해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초신성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어 1a형 초신성을 우주의 ‘표준 촛불’이라고 부른다. 우주가 ... ...
- 슈퍼 목성 발견되다과학동아 l201212
- 있어서 어두워 보인다.연구팀은 하와이에 있는 스바루 망원경을 이용해 이 별을 1월부터 관측해왔다. 1월에 카파 안드로메다 옆에서 근적외선을 내는 천체를 발견한 뒤, 6개월 후 다시 촬영해 이 별 주변에 공전하는 거대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행성을 카파 안드로메다b 라고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12
- 지속적으로 동유럽에 유입돼 생긴 결과다. 올해도 카라·바렌츠해에 일부 해빙감소가 관측되기 때문에 올겨울 한반도에 한파가 불어 닥칠 가능성이 없진 않다. 하지만 한반도의 한파는 시베리아의 강설량, 적도 인도양의 이류활동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쉽게 예측하기는 어려운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12
- 힉스와 큐리오시티올해 최대의 과학 이슈는 단연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힉스 입자 관측이다. 이 기회에 물리학을 제대로 알아보려 한다면, 젊은 국내 이론물리학자가 쓴 책 두 권을 놓치지 말자. ‘물리학 클래식’(사이언스북스)과 ‘보이지 않는 세계’(휴먼사이언스)는 독창적인 설명으로 ...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과학동아 l201212
- 공동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RBSP는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방사선대인 밴앨런대를 관측하기 위한 위성이다. 밴앨런대는 고도 1000~6만km에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플라스마층이다. 주로 태양풍이나 우주선에서 나온 입자가 있다. 태양폭풍이 생기면 이곳에 고에너지 입자가 생긴다. 따라서 ... ...
- 영국 매스투어1탄, 위대한 수학 유산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212
- 천문학자였던 플램스티드가 천문학을 연구하고 거주했던 곳이에요. 이 건물에는 천문 관측과 시간 계산의 역사를 잘 설명한 박물관이 있어요.인공위성이 없던 시절 바다에서 어떻게 위치를 알아냈을까요? 2차원 평면에서 임의의 점의 위치는 x, y축의 두 좌표만 알면 돼요. 마찬가지로 지구에서 ...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과학동아 l201212
- 표면에 가장 가까이 근접할 계획으로 지금까지 자세히 볼 수 없었던 태양의 극지방을 관측할 계획이다. 또한, 일본은 히노데의 뒤를 이어 2015년 발사 예정으로 솔라-C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태양의 더 많은 비밀은 물론 태양과 비슷한 다른 별에 대한 실마리도 함께 알려 줄 것이다.▼관련기사를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12
- “장기력에서 말하는 ‘재시작 주기’는 현대인이 쓰는 ‘년(年)’처럼 천체 관측을 토대로 만든 달력 단위일 뿐 세계 멸망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현대인의 달력이 12월 31일이 되면 한 해(년)가 끝나지만, 그것으로 세상이 끝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세계 멸망을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12
- ‘태양의 법칙’다시 한번 새끼흑점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세하게 보자. 수치모델과 실제 관측에 따르면 새끼흑점 주위에서 대류운동을 하던 물질이 흑점의 자기장 때문에(열전달이 안 되므로) 온도가 낮아져 태양 표면 아래로 떨어진다. 떨어지던 물질 일부가 새끼흑점 아래에서 밀도가 높은 곳을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12
- 지름도 계산할 줄 알았다.특히 서양 수학을 접한 이가환은 정조에게 망원경과 같은 관측기구를 만들고, 역법도 정비해야 한다고 상소를 올렸다. 정조는 이가환의 뜻을 받아들였다.정조는 박학다식한 이가환에게 곧잘 평소 궁금했던 것을 묻곤 했다. 그때마다 이가환은 국가 발전을 위해서는 수학이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