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4,596건 검색되었습니다.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17
-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었지.바르가바 교수는 장난감 ‘루빅스 큐브’에서 영감을 얻어 18세기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의 연산법칙 연구를 확장한 공로를 인정받아 필즈상을 수상했어. 그는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두 번째로 젊은 나이에 정교수가 된 수학자이기도 해.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첫 번째 ... ...
-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1412
- 오일러, 라그랑주, 푸리에, 클라인, 힐베르트 등으로 이어지는 사제지간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서양수학사를 주도했다. 이처럼 서양수학계에서 베르누이 가문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12
- 닮아서다.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칸토어기호 ∞가 쓰이기 시작한 건 17세기였지만, 이때까지도 무한이라는 개념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상태였다. 무한은 그저 인간이 셀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매우 큰 수 정도로 여겨질 뿐이었다. 예를 들어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세상플라스틱이 정말 위대한 이유는 ‘세상의 모든 물건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에요. 20세기 초 연구실에서 플라스틱이 탄생한 뒤 전 세계 사람들이 싼 값에 다양한 물건을 구입할 수 있게 됐어요. 빗, 그릇, 바구니 같은 일상 용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비행기, 반도체, 컴퓨터 같은 기계나 정밀 ...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12
- 연구하는 학자들도 놀라고 있어요. 핵융합 춘추전국시대핵융합 연구 역사는 벌써 반세기가 넘어간다. 최근 활발한 연구 시설은 어디에 있을지 지도에서 살펴보자. 그림에서 속이 빈 원은 현재 건설 중인 시설이고, 속이 채워진 원은 한창 실험 중인 시설이다. 숫자는 개시 연도다. 2020년 - RFNC-VNIIEF ...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12
-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기 후반에 성선택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윤곽이 잡히기 시작했다. 한 예로 스웨덴 스톡홀름대 패트릭 린덴포스 교수팀이 2007년 포유류 1370종을 조사한 결과 포유류 전체로 보면 수컷이 암컷보다 약 18% 더 ...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12
-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유클리드 이후로도 많은 수학자가 2000년 동안 노력했다. 하지만 19세기에서야 공리 1, 2, 3, 4를 만족하면서 5번은 성립하지 않는 새로운 기하가 발견되면서 1, 2, 3, 4로부터 순수 논리 전개로 5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유클리드 기하학은 과학의 역사에 지대한 ...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2
- “수학에는 세기의 난제 같이 오를 수 없는 산이 있다”고 응대하자 유카와 교수는 세기의 난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을 부정하는 증명을 이시가미 선생에게 건넨다. 그는 술잔을 기울이는 유카와 교수를 옆에 둔 채 밤을 새 그 증명의 근본적인 문제를 밝힌다. 유카와 교수는 이시가미의 천재성이 ...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12
- 21세기 논리학 컴퓨팅적 사고를 키운다Q 컴퓨터 공학은 어떤 학문인가요?A 100년 전 사람들은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컴퓨팅적 사고란 우리가 풀기 어려운 아주 복잡한 문제를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 형태로 ...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11
- 소장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생물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실험 장비가 현미경이다. 17세기 중엽 영국의 로버트 훅이 광학현미경을 개발한 이래 현미경은 생물학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 세포를 알게 된 것도 현미경이 탄생하고부터다. 하지만 1994년 전까지 광학현미경은 200nm(1nm=10억 분의 1m)보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