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샛별
개밥바라기
태백성
비너스
Venus
d라이브러리
"
금성
"(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나타난다. 낮에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관측이 용이하지는 않을 것이다.이달의 행성
금성
화성 천왕성 해왕성 등은 태양 근처에서 머뭇거리고 있어 관측이 불가능하고, 태양 근처로 접근하려는 토성은 지평선 근처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수성은 무서운 속도로 태양을 탈출해 이달 말경 서쪽하늘에서 ... ...
PART.1 컴덱스쇼로 예측하는 '94 신기술 새경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마련했고 다우기술 컴픽스미디어 등 유망중소업체들이 공동전시관을 열었다. 삼성과
금성
은 고해상도 모니터와 평판 액정 디스플레이를 전시해 바이어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정작 설명하는 사람들의 성의부족과 언어장애로 모처럼 찾아든 손님들이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고 돌아서는 등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타이틀의 전체 판매량은 업체마다 추정량이 크게 차이나는데 드라이브 보급 확대와 삼성
금성
등 대형업체들이 CD-ROM 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어 올해 말까지 판매량이 1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PC의 고기능화 부추겨멀티미디어 분야가 미래의 전자산업을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 ...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초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탄소 성분을 붙잡아 둔 것이라고 한다.
금성
에 있는 이산화탄소는 지속적인 온실효과를 가져왔지만, 적어도 아직까지는 지구에서 그렇지 않다. 생명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기를 균형있게 유지하기 위하여 지구의 생물체는 계속 노력해 왔다. 그러나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있지 않다.■ 새벽 하늘의 목성새벽녘에 동쪽 하늘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금성
이 아니라 목성이다. -1.8등급의 밝기와 33초 정도의 시직경을 갖고 있어 충일 때의 목성에 비해 못하지만, 목성의 줄무늬와 4대 위성의 움직임은 신비스럽기만 하다.그리고 지금 목성에는 내년 7월 충돌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우리나라에서도 삼성전자와 삼성전관이 지난 4월 이미 가입했으며 그 이후 삼보컴퓨터
금성
사 현대전자 대우통신 등이 추가로 참여했다. 1년에 1대당 1천6백25시간 켜둔 채 낭비그렇다면 과연 전세계가 달려들어 만들고 있는 절전형 PC는 그렇지 않은 일반 PC에 비해 얼마만큼 전력소비를 줄일수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생겼다고 유추되는 냉점(cold spot)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금성
의 구조운동은 지구의 판구조 운동과 달리 맨틀플룸이 상승하는 열점과 식은 부분이 내려가는 냉점에 의한 실린더 모양의 맨틀 대류가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관측결과라고 소시게네스는 지적했다(그림 5).헤라클레이데스(Heracleides, 373-? BC)는 수성과
금성
의 두 행성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는 일이 없고 태양 주위를 원궤도로 돌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밝기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생각했다. 한편 피타고라스학파의 주장을 지지해 지구는 지축 주위를 자전해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혼돈흐름을 만들어냈다는 것. 이를 위해 2천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금성
측은 밝혔다. 최근 등장한 '로스비 캡'을 이용해 입체물살을 만들어 준다는 삼성의 퍼펙트세탁기도 '카오스물살'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지만 실제로는 캡을 이용해 빨래의 엉킴을 해소하는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청년기에 해당한다. 앞으로 50억년쯤 더 지나면 중심부의 수소가 모두 타버리고, 크기는
금성
궤도까지 팽창할 것이며, 밝기는 현재의 1천배 이상 증가할 것이다. 이때쯤 되면 태양의 강한 복사에너지와 자외선 때문에 지구상의 생물은 모두 죽어버리고, 지표의 물도 모두 증발해버린다. 이러한 시기에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