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결정은 ... ...
얼음호수에서 생명체 찾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월 15일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가 보도했다.보스토크 호수는 남극점에서 동
남쪽
으로 1250km 떨어진 빙하 밑에 있는 지하 호수로 최대수심이 1200m에 이른다. 빙하의 하부가 지열에 의해 녹으며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며 현재 두께 4km의 얼음으로 덮여 있다.과학자들은 수십만 년 동안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해 짝을 찾는 활동을 시작한다던 말은 이제 과거의 이야기로 접어야 할까. 우리나라
남쪽
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겨울이 한창인 1월에도 겨울잠에서 나와 산란을 하는 북방산개구리와 도롱뇽들이 최근 들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역시 지구온난화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나라 양서류도 전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결점이 있으나 근년에 플라스틱으로서의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겨울철에서 봄철에 걸쳐
남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이다용융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집어삼킬 거대 재앙의 실체prologue“얼음으로 덮인 과거! 서리의 가혹한 포옹이
남쪽
땅을 덮쳤던 시절!”지금으로부터 1만 5000년 뒤, 지구에는 다시 빙하기가 찾아왔다. 우연히 도서관 고문서 보관실을 뒤지던 오웰은 19세기 초 독일 과학자였던 칼 쉼퍼의 시를 발견했다. 시 속에 묘사된 소빙하기의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공기 콘덴서가 사용되고 있다 봄밤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1751년 라카유가
남쪽
하늘에 신설한 14별자리 중의 하나로서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10h0m, 적위(赤緯) -35˚이다 동력원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권양기(捲揚機) 호이스트로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식이 보통이지만, 탄광 등 폭발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주장했다. 또 아프리카대륙과 마다가스카르는 인도양을 건너 남아시아와 충돌해
남쪽
에 산맥을 만들고 호주는 북쪽으로 계속 이동하다 동남아시아와 합쳐진다고 예상했다.결국 남극대륙만 제자리를 지킨 채 나머지 대륙이 모두 모여 하나의 거대한 대륙을 이룬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의 폴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란 남위 54도에서 62도 사이를 오르내리는 폭 60km 정도의 선을 말한다 남극수렴선은
남쪽
의 찬물과 그 북쪽의 덜 찬물이 만나 만들어지는 일종의 경계선으로 그 선을 경계로 해양환경과 해양생물, 날씨가 크게 달라진다몸길이가 6cm 정도인 새우 종류다 남극 주위 바다에 많기 때문에 남극새우라고도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을 만나러 태평양으로 날아갔다. 서태평양 사이판 섬에서
남쪽
으로 5km 떨어진 티니안 섬에서 ESPN 중계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조별예선전을 보고 나서 일식을 관측했다.2004년 12월에도 호주 시드니 서부해안에서 개기일식이 벌어졌지만, 이때는 가고 싶어도 도저히 갈 수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는 원격자료수신장비로 발사체의 내부정보 700여 가지를 받는다.발사 25초 뒤 KSLV-Ⅰ이
남쪽
으로 방향을 틀자 제주추적소에서도 레이더를 이용해 발사체를 뒤쫓기 시작한다. 이어 200여 초 만에 제주도 근방 상공에서 위성을 감싸고 있던 덮개(페어링)가 둘로 나뉘어 떨어져 나가고 1단 액체엔진은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