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돌려 주고 오게 됐다. 그러나 그 사이에 우리우리스 종족이 지배하던 은하계 구역은 둘로 나뉘어 분열됐고, 그 틈에 우리우리스 종족의 지배를 받던 수많은 다른 종족들이 독립 운동에 나서며 은하계는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 이것이 바로, 은하계 역사의 전근대와 근대를 가르는 중요한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CMB)에서 얻은 밀도 차이를 이용하거나 주변 관측정보를 활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둘 가운데 더 널리 이용되는 방법은 우주배경복사를 쓰는 방법입니다.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면 과거 물질이 어떻게 분포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급팽창 시기 이후 어떤 부분에는 물질이 많이 몰렸고, 어떤 부분은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구분할 수 있거든! 어린 아이가 고양이와 개를 볼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름을 들으면서 둘을 구별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지! 나는 이 방법으로 계속해서 더 똑똑해지고 있어~. 오늘은 내 공부법, 딥러닝을 소개할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내려갑니다. 3. 합성함수 인공신경망은 여러 개의 함수가 합쳐져 있습니다. 이때 둘 이상의 함수를 합친 것을 ‘합성함수’라고 합니다. 만약 y=ax+b, z=cy+d라는 두 함수가 있을 때 오른쪽과 같은 순서로 합성한다고 하면, 1단계는 x를 입력한 뒤 y=ax+b를 출력하고, 2단계는 그 출력된 ax+b를 다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나옵니다. 단위원군이라는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죠. 두 복소수 x, y가 있을 때, 이 둘의 곱인 xy의 절댓값은 x의 절댓값과 y의 절댓값의 곱과 같다는, 즉 |xy|=|x||y|라는 특성에 따라 절댓값이 1인 복소수끼리는 어떻게 곱해도 절댓값이 1인 복소수가 됩니다. 이제 공통점이 보이나요? 원의 회전 대칭을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였습니다. 바로 전날에는 큐리오시티가 표면에서 측정한 메탄 농도가 7ppb를 넘었습니다. 둘 다 평소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치였습니다. doi: 10.1038/s41561-019-0331-9하지만 “메탄의 존재만으로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단언하긴 어렵다”라는 신중론이 아직은 대세입니다. 메탄은 암석이 풍화되거나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르고 같은 해에 태어난 덕분에 짝이 될 수 있었다. 너구리는 생에 한 번 짝을 지으며 둘은 지금도 금실 좋게 지내고 있다. 두 너구리의 재활과 복지를 위해 데이비드가 중성화 수술을 받아 새끼 너구리는 태어날 수 없다. 짬이와 너울이는 동종에게 공격성을 보이게 각인됐기 때문에 단독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각뿔의 꼭짓점은 몇 개일까요?” 기자들의 답변은 5개와 1개로 갈렸어요. “하나, 둘, 셋, 넷, 다섯! 꼭짓점은 총 5개예요.” 다른 기자는 위로 뾰족하게 솟은 점을 가리키며 말했어요. “‘각뿔의 꼭짓점’은 모든 옆면이 공통으로 만나는 점이니 1개예요.” 불붙은 ‘각뿔의 꼭짓점’ 논란! 과연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보여주면 돼요. 인공지능은 호랑이와 코끼리의 여러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다 마침내 둘을 구분해내는 판단 기준인 ‘모델’을 자동으로 만들어내지요.이번 호에서는 모델을 이용해 가족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거예요. 먼저 가족들의 얼굴 사진을 컴퓨터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스윙바이, 운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알려졌어요.언뜻 봐서는 그냥 돌멩이와 운석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둘을 구분할 수 있는 결정적인 힌트가 있답니다. 그건 바로 운석 표면에 있는 ‘용융각’이라 불리는 흔적이에요. 운석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공기와의 강한 압축열로 표면이 녹았다가 식어요. 이 때문에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