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류
분류
d라이브러리
"
물줄기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자녀를 잃는 일은 모든 부모에게 최악의 악몽이다. 그러나 이제는 소형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이 장착된 개인용 위치탐지장치가 인공위성 추적과 무선통신을 통해 자녀가 어디에 있든지 그 위치를 60초안에 부모에게 알려준다. 이 장치는 미국의 웨러파이와이어리스사가 개발했다. 대수학에서 사용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미항공우주국(NASA)의 혜성탐사선 콘투어가 7월 3일 발사됐다. 콘투어는 최소 2개의 혜성을 방문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혜성의 머리나 핵을 조사하고 이를 둘러싼 가스와 먼지를 분석할 계획이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못한 호수 가장자리는 무너지고 폭포처럼 북쪽으로 물이 넘쳤다. 홍수처럼 거대한
물줄기
는 수개월 정도, 적어도 1년 이내에 마아딤 계곡을 만들었던 것이다.이같은 연구 결과는 과거에 화성이 따뜻했고 표면에 물이 풍부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과거 화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했을 ... ...
중국서 최초 꽃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공룡이 지배하던 1억2천5백만년 전에 살았던 최초의 ‘꽃 화석’이 발견됐다. 중국 지린(吉林)대의 게 순, 미국 플로리다대 자연사박물관 데이비드 딜체르 박사 등 중국과 미국의 공동 연구팀이 중국 동북부 리아오닝성(遼寧省)에서 발견한 이 화석은 ‘사이언스’ 5월 3일자에 발표됐다.25cm 크기의 ... ...
숙취 해소에 콩나물 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오늘 저녁엔 뭘 만들어 먹을까?”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다면 부담 없는 가격의 콩나물로 만들 수 있는 요리를 떠올려보자. 콩나물국, 콩나물무침, 볶음콩나물밥, 콩나물비빔밥, 콩나물라면….이처럼 콩나물은 반찬거리로 고민하는 주부들에게 가장 ‘만만하게’ 선택되는 재료 중 하나다. 매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육식 채식 논쟁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거리는 그냥 먹을지 조리해 먹을지의 선택 문제다. 수많은 조리법이 등장하고 있는 현대의 식생활. 인간이 식품을 조리해서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형태의 식품을 섭취해야 할까. 인간의 식품은 생물종의 체계 속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인원에서 인류가 갈라져 나온 것은 약 7백만년 전이다. 농업이 우리의 식단을 바꾼 것은 5백세대 전부터이고, 산업혁명 이후로는 10세대 밖에 안된다. 패스트푸드에 익숙해진 것은 겨우 2세대 전이다. 현대인이 섭취하는 음식에 대해 진화론적 관점에서 허와 실을 조명해보자.“석기시대 식사로 돌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밤하늘에서 가장 친숙한 대상은 뭐니뭐니해도 보름달이다.이번 정월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중 가장 크다고 한다.정월대보름을 맞아 보름달 크기를 직접 재보는 일은 어떨까.올해 2월 26일은 음력 1월 15일로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민족의 고유명절이다. 이 ... ...
돌아라 돌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실험은 헤론의 열기관을 응용한 것으로 수증기 대신
물줄기
를 이용했다.■ 헤론의 열기관역사상 기록된 최초의 열기관은 고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난 헤론이 서기 60년경에 만든 것이다. 헤론은 밀폐된 금속 냄비의 뚜껑에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금까지 탯줄과 태반은 아기가 태어난 후 감염성 폐기물로 취급돼 소각되거나 땅에 묻혔다. 하지만 여기에 난치병을 고칠 수 있는 귀중한 생명재료와 21세기 생명공학을 이끌 소중한 재료가 들어있다면…. 첨단 생명공학으로 다시 이용되는 탯줄과 태반의 과학을 살펴보자.서울 시내의 한 산부인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