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정육면체가 아닌 주사위는 없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저는 보드게임을 좋아해요. 보드게임을 할 때 주사위를 자주 사용하는데, 그럴 때마다 궁금한 점이 있어요. 주사위는 왜 대부분 정육면체* 모양인가요? 다른 모양 주사위는 왜 사용하지 않는 걸까요? 이런 모양 주사위도 있다!주사위는 모두 정육면체라고 생각하겠지만, 정육면체가 아닌 주사위도 ... ...
- [가상인터뷰] 가위개미 들 수 있을 만큼만 오린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가위개미(잎꾼개미)는 커다란 큰 턱으로 나뭇잎을 잘라 턱으로 물고가는 종류의 개미다. 특정 종이 아니라, 나뭇잎을 자르는 두 가지 속, 약 47종에 달하는 개미 전체를 부르는 일반 명칭이다. 최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연구팀은 가위개미가 나뭇잎 두께에 따라 크기를 조절해 자신이 들고 갈 수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중력파란 전 우주 시공간에 일렁이는 물결이다.우주에 분포해 있는 수많은 천체들은 중력장의 물결, 즉 중력파를 만들어내고, 중력파는 사방으로 퍼져 나가며 중첩돼 중력파 배경을 이룬다. 중력파 배경은 잡음과 통계적 특성이 동일하다. 무작위적이라는 뜻이다. 천체물리학자들은 규칙적인 신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인셉션’, ‘인터스텔라’ 등 걸출한 SF영화들로 국내에서만 3315만 관객을 동원한 거장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돌아왔습니다. 8월 15일에 개봉하는 영화 ‘오펜하이머’는 원자폭탄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천재 과학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 편집자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언제부터 우리가 스크롤을 ‘내려’ 다음 정보를 보는 동물이었던가. 50년 전만 해도 우리는 종이를 넘겨 다음 정보를 읽었다. 그보다 5만 년 전에는 돌이나 나뭇잎 따위를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가며 정보를 얻었다. 그게 당연했다. 2023년 인류는 다시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서 정보를 얻는 ... ...
-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몇년 동안 번역돼 나오기만을 오매불망 기다리던 책이 있었다. 미국 신문 뉴욕타임스의 과학 칼럼니스트인 칼 짐머가 쓴 ‘웃음이 닮았다’이다. 멘델의 완두콩부터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까지 다룬 방대한 유전의 서사시를 읽으며 이런 두꺼운 책은 어떤 사람이 번역했을지 궁금해 ...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필자는 대전 토박이다. 유치원 시절부터 박사 과정까지 모두 대전에서 지냈고, 현재 일하는 곳도 대전에 자리한 연구원이다. 초등학교 시절엔 대전 시내에 경문사라는 서점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동네 책방보다 조금 큰 수준이었지만 당시만 해도 대전에서 가장 큰 서점이었다. 부모님은 주말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당신은 오늘따라 기분이 좋다. 배는 적당히 부르고 햇살은 따사롭다. 콧바람을 흥얼거리던 그때, 평소 갖고 싶었으나 망설이던 물건이 눈에 띈다. 가방일 수도, 전자기기일 수도, 혹은 자동차일 수도 있겠다. 유독 기분이 좋던 당신은 평소라면 더 고민했을 그것을 단번에 구매하기로 선택한다.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7월 11일, 국립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학부)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이 있는 82동에 들어가자 입이 ‘떡’ 벌어지는 규모의 스마트 팩토리가 보였다. 면적이 1000m2에 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나노공정실, 로봇 적층제조실, 3차원(3D) 프린터실, 메이커아지트 제작실 등으로 나뉘어져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세상에 없던 혁신을 만든다, AI디자인 “‘AI디자인’은 쉽게 말해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한 디자인 작업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질 겁니다.” 6월 27일 국민대 조형관에서 만난 주다영 AI디자인학과 교수는 AI디자인학과를 2022년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