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확실히 모른다는 사실도 문제다(과학동아 5월호 기획 참조). ‘방사능 상식사전’의 대표저자인 하미나 단국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핫스팟이 한 군데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250km 밖에서 발견됐다는 것은 더 많은 핫스팟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비판했다 ...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동물과 인간 사이’는 좀더 ‘야생’에 가까운 지식을 주는 책이다. 인지생물학자인 저자가 ‘동물들은 무엇을 알고 어떻게 사고하나’라는, 과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질문의 답을 찾는 과정을 모았다. 늑대나 까마귀, 침팬지, 미어캣 등 동물들을 집요하게 관찰하는 과정은 우리와 다른 종을 ... ...
- 법정에 선 지진학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아이디어나 연구내용, 결과를 적절한 인용 없이 사용하는 표절의 경우,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를 하는 경우, 그 밖에 과학기술계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난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연구윤리위반으로 제재를 하고 있습니다(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제4조, 연구윤리 확보 및 ...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스스로 복제가 가능해 그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수있기에 문제 없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두 책의 내용에는 접점이 있다. ‘창조의 엔진’에서 드렉슬러는 “기계가 생각이라고 표현돼야 마땅할 무언가, 그러면서도 사람이 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무언가를 하지 못하란 법이 있는가”라고 ...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베임 교수는 유명한 양자역학 교과서인 ‘양자역학 강의(Lectures on Quantum Mechanics)’의 저자. 1969년에 처음 나온 이후 개정을 거듭하며 42년이 지난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현대 양자역학 역사의 산 증인인 셈이다. 8월 26일 낮 12시,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에서 베임 교수를 만났다. 포스텍에서 열린 ...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열었다.이 사진전은 ‘얀이 들려주는 하늘에서 본 지구 이야기’, ‘하늘에서 본 한국’ 저자인 항공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수중사진 전문작가 파스칼 코베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진작가 40명이 참여했다. 지난 8월에는 서울 청계천, 9월에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으며 10월에는 경남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전영범 박사의 설명이다. 전 박사는 현 천문대장인 성현일 박사와 함께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다.보현산천문대 망원경에는 3종류의 검출기를 달 수 있는데 근적외선 카메라와 가시광선 카메라, 그리고 분광기가 있다. 근적외선은 파장이 1.0~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로 가시광선 파장인 0 ...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입장이다. 원자력에 투자할 비용이면 재생에너지 사회를 앞당길 수 있다고 본다.국내 저자의 최신 책들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을 두루 정리한 좋은 책이 여럿 나왔다. 그 가운데 국내 이공계 전문가가 쓴 믿을 만한 책을 모아 봤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KAIST ...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소개한다.“수학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 삶과 관계 맺고 있는 수학의 모습을 통해 독자는 수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뜨게 될 것이다.김남준 서울 불암초 교사, 전국수학교사모임 초등교육과정팀장놀라운 수의 세계_에코리브르, 200 ...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상상력이다.이 책의 원제목은 ‘야생 달팽이의 식사 소리’다. 병으로 몸을 못 움직이는 저자에게 달팽이가 먹이를 먹는 작고 느린 소리는 사그라들고 있다고 느끼던 생명의 소리였다. 자연이 자연을 먹고 다시 자연이 되는 과정이다. 느리게, 오래 보고 듣고 느낄 수 있었기에 들을 수 있었던 느린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