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공학과는 직접적인 인연이 없다. 하지만 우주 탐사와 개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전공인 금융 지식을 이용해 민간의 신생 우주 스타트업을 지원할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그가 우주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2016년부터다. 그 해 2월, 룩셈부르크는 수천만km 떨어진 비교적 지구에 가까운 소행성 ...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AI)을 이용해서 실질적인 것들을 예측하는 일을 해보고 싶어 전기전자공학을 복수전공했습니다. SW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에게 조언해 주세요.수학과 컴퓨터 모두 중요해요. 특히 수학은 기호의 조합을 이용해 일상의 모든 것들을 추상화시켜 표현하는 언어잖아요. 따라서 기호를 잘 이해하고 어떻게 ... ...
- [JOB터뷰]지구를 지키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밴드도 있지만, 저희는 기존 악기와 똑같은 소리를 내고 싶었죠. 팀원이 다들 음악을 전공하기도 했고, 재활용 밴드도 결국 밴드잖아요. Q 노래는 직접 만드시나요?키보드 양지해 씨와 보컬 정은진 씨가 직접 곡을 만들어요. 흔히 재활용 밴드는 환경에 관한 노래만 한다고 생각하는데 저희는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전기공학연구원에서 일하다가 우주인이 되고 싶어 미국으로 유학 가 항공공학으로 전공마저 바꾼 ‘우주 덕후’였다. 언젠가 한국에서도 우주인을 선발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품고 우주인 선발 공고가 나기 전부터 우주인 선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지식을 쌓고, 체력을 기르는 등 준비된 ...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신체 활동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글.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약학 정보를 쉽게 널리 알리기 위해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개인 맞춤형 건강서비스 스타트업인 ‘마스터큐어’ 대표약사로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중에는 학부 전공과 다른 진로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면서도 “학부생의 90% 이상이 전공을 살려 진로를 선택하고 있는 만큼 반도체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학과 설립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앞으로 반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주왕복선 임무(STS-72)를 앞두고 존슨우주센터에서 훈련하는 모습.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한 그는 1996년 일본인 최초로 미국 우주왕복선 과학임무 전문가가 됐다. "일본인이 국제우주정거장의 선장이 된 것은 일본 유인 우주개발 역사에 큰 변환점을 가져왔다" 우주왕복선과 소유스호 모두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김 교수는 “현재 미국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 중 10% 이상이 수리생물학 전공이며, 통계학은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알고 있다”며 “생물학에 대한 거의 모든 연구는 수리생물학을 통해 컴퓨터라는 가상공간으로 옮길 수 있어 이 분야는 앞으로도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한대의 학과 생활에 관해 이야기하기에 앞서 학과 시스템부터 소개하는 게 좋겠다. 우선 우한대에 입학한 신입생은 세부 전공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 것만으로도 버거운 편이다. 본격적으로 전공을 공부하는 2학년에 올라가면 이런 활동에 참여해 전공 역량을 끌어올릴 생각이다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뇌 원리를 밝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뇌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질수록 뇌 손상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