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혼잡도와 수송력으로 지옥철 탈출!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명의 몸무게를 65kg으로 가정하면 지하철 한 칸의 정원 몸무게는 65×160=10400kg입니다. 이때 측정한 전체 탑승 인원의 무게가 11700kg이라면 =1.125로 혼잡도는 약 113%가 돼 보통이라고 표시되는 거죠. 노선 개통은 수송력을 기준으로 판단!퓨처킴이 타고 다니는 경의·중앙선은 수도권의 거주지역과 서울을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방사능 농도의 경우 여러 탱크를 한데 묶어 평균을 낸 값을 제공하고 있으며, 오차나 측정 불확도가 정확히 공개돼 있지 않다”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도쿄전력이 자세한 데이터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재정화 과정의 신뢰성도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회로를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쥐의 226개 뇌 구역의 반응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시상하부*에 있는 ‘시각교차앞구역’ 내부와 측면 뉴런을 활성화하면 쥐가 겨울잠에 든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일본 쓰쿠바대학교 연구팀도 시상하부 가까이서 겨울잠을 유도하는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실험을 마치면 이번 결과를 보다 확실히 밝힐 것으로 기대된다. 김 연구원은 “IBS는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뮤온 입자가 초전도저장링 정중앙에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doi: 10.1103/PhysRevLett.126.14180 ...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콩코르디아 기지를 운영하는 지역으로, 강설량이 일정하고 측정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높아지며 다양한 충돌 현상이 더 많이 발생했고, 검출기 역시 입자를 식별하고 운동량을 측정하는 성능 역시 크게 향상된 점이 이번 연구결과에도 큰 도움이 됐다”며 “더 작은 공간, 더 짧은 시간에 벌어지는 물리 현상이 점차 밝혀지는 셈”이라고 말했다.현재 LHC는 업그레이드를 위해 휴식 ... ...
- [만화뉴스] 미세먼지 탓에 길 잃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전파식별태그(RFID)를 달았어요. 이를 통해 출입카드처럼 벌집에 들어오고 나가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때의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했지요. 그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1㎍/㎥ 증가할 때마다 비행시간이 32분씩 늘어났어요. 연구팀은 꿀벌은 태양을 나침반 삼아 비행하는데, 미세먼지가 태양 빛을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넣었을 때는 자성이 없는 상태라 정상적으로 원자의 배열을 측정했습니다. 그런데 측정이 계속되면서 철 원자가 탐침에 달라붙었습니다. 그 결과 원자 배열뿐 아니라 원자 각각의 스핀 방향이 더해진 이미지를 얻게 됐습니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철 원자가 텅스텐 탐침을 스핀을 읽을 수 있는 ...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 같네요. 왜냐하면 초신성 폭발과 나이테가 형성된 시간을 측정한 데이터는 오차 범위가 매우 크거든요. 또 지구 대기의 방사성동위원소량에 영향을 주는 다른 가능성(태양 활동)이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이번 연구 결과를 가능성 정도로 의미를 두고, 앞으로 더 지켜본다면 ...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를 진행 중인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앞선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값과 이번 B중간자 붕괴 실험값이 둘 다 이론과 어긋난 이유는 미지의 새로운 입자 때문일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요인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LHCb는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거쳐 2022년부터 재가동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