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신발 디자이너 ‘ 샌드리나 스레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않는다며 괴로움에 머리를 감싸쥐고 있던 ‘샌드리나 스레파’는 썰렁홈즈에게 한쪽 구석에 놓인 금고를 가리키며 말했다.“대대로 내려오는 우리 스레파 가문의 비밀 노트가 저 금고 안에 들어 있어요. 아버지께서는 디자인 영감이 떠오르지 않을 때 이걸 보라고 말씀하시곤 했죠. 그런데 암호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같이 문제를 풀고 금고를 열어! 나는 문에 바짝 붙어서 누가 오는지 감시하고 있을게”한쪽에서는 지원군 선배가 방 안을 둘러봤고, 시원이와 오로라는 자물쇠 비밀번호를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댔어요.“60kg인 사람이…, 달에 가면…, 중력의 힘…. 이게 무슨 말이지?”“이건 무게와 질량 얘기잖아.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마인크래프트 세계 안에서 캐릭터를 내 맘대로 움직이는 방법을 배웠어요. 컴퓨터 화면 한쪽에는 마인크래프트의 캐릭터와 배경, 목재와 양 등이 있어요. 다른 쪽에는 캐릭터가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 행동 등을 지정해 주는 블록들이 놓여 있고요. 각각의 블록은 하나의 명령어로, 이 명령어들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것이다. 비닐이 공중부양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물체를 다른 물체로 문지르면 한쪽 물체 표면의 전자가 떨어져 나와 다른 쪽 물체로 이동한다. 전자를 얻은 물체는 (-) 전기를 띠고, 전자를 잃은 물체는 (+) 전기를 띠게 된다. 이 현상을 ‘대전’이라고 한다.그런데 전기 역시 자석처럼 인력과 ...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도형의 변 길이는 눈으로 언뜻 보면 구분 못할 정도로 비슷해요.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한쪽 변의 길이를 1이라고 했을 때, 가장 큰 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은 2, 밑변은 약 2.83이에요.그런데 우리 눈은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작은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툭 튀어나온 부분을 만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거예요.▼ 확대 융합 개념 파헤치기기생충이 약이 된다고?함께 살아가지만 한쪽만 이익을 얻는 관계를 ‘기생’이라고 해요. 참나무와 겨우살이가 그 예지요. 겨우살이는 참나무 줄기에 뿌리를 내리고 물과 영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산답니다. 이런 생물을 ‘기생생물’이라고 해요.기생생물은 다른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목성의 중력 때문에 몸체가 흔들리며 궤도가 바뀌는 경우가 있어요. 또한 소행성의 한쪽 면이 태양빛을 받아 데워졌다가 식으면 열을 내어놓아요. 이 열이 추진력 역할을 하며 소행성을 궤도에서 밀어내는 경우도 있지요. 심지어 자기들끼리 부딪혀서 깨지거나, 너무 빨리 돌다가 폭발한 잔해들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돌고 있어요. 달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지요. 우리가 지구에서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중력 때문이에요.약 45억 년 전, 달이 생겼을 때에는 지금보다 달의 자전 속도가 더 빨랐어요. 하지만 달의 중력보다 센 지구의 중력에 의해 달의 자전 속도가 점차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시간 간격으로 도는 것을 말해요. ‘공평할 공(公)’과 ‘구를 전(轉)’이 합쳐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둥글게 돈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반면 지구나 달이 제자리에서 도는 건 ‘스스로 자(自)’를 붙여 ‘자전(自轉)’이라고 해요. ‘공평할 공(公)’은 ‘사사 사(厶)’와 사람이 등을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복원사업이 시작됐어요. 장 교수팀은 지난해 농어촌공사의 지원을 받아 일월저수지 한쪽 구석에 인공서식지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7월, 8월 2차에 걸쳐 연구실에서 키운 수원청개구리의 어린 성체 150마리를 일월저수지에 풀어 줬지요. 이후 9개월이 지난 올해 5월 연구팀은 드디어 기다리던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