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성 염증 질환, 패혈증 치료 가능성 열렸다
2015.07.27
완벽한 패혈증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다. 에볼라와 메르스 등의 바이러스도 결국
숙주
에 패혈증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만든다. 연구진은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핵수용체 단백질을 찾는 연구 과정에서 ‘ERRalpha’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이 결핍된 생쥐에게서 염증 반응을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2000년대 들어 인체거주미생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인체에 대한 재정의(
숙주
와 미생물의 공생체라는)가 필요하다는 논의까지 있지만, 식물 역시 거주미생물과 삶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즉 사실상 모든 식물에는 식물내생생물로 불리는 박테리아나 ... ...
에이즈 백신 개발을 향해
2015.07.12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당단백질 복합체에 관한 연구다. 당단백질은 에이즈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들어가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최근 에이즈 바이러스 백신 개발의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이 단백질은 똑같은 전구물질 3개가 결합한 ‘삼량체’로 이뤄져 있는데, 이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등장한 병원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는 늘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다. ‘미생물과
숙주
의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카사데발 교수와 피로프스키 교수의 주장에 공감이 가는 이유다.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국제학술지 ‘생화학저널(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8일자에 발표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한 뒤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하면서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길게 형성된 단백질을 중간에 끊어 주는 ‘가위’ 역할을 하는 분해효소가 중요하다. 메르스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바이러스가 침투하더라도 인간처럼 감염되는 게 아니라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숙주
가 된 것이다. 박쥐의 비행 능력도 바이러스와의 공존을 돕는 비결로 꼽힌다.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날 수 있는 박쥐는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체내 대사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이 때문에 ... ...
[메르스 업데이트] 바이러스 제거에 물티슈 효과 있을까요?
2015.06.18
㎛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보다 100배 이상 크고, 독립적인 생명체인 반면 바이러스는
숙주
가 없으면 살 수 없는 등 생물학적인 특성이 다르다. 또 로런 램 영국 카디프대 교수팀은 물티슈 한 장을 여러 번 사용하면 오히려 세균을 퍼뜨리는 결과를 낳는다는 연구 내용을 ‘미국감염통제저널’ ... ...
[메르스 업데이트] “동물→사람 감염, 생각보다 쉽게 일어나”
2015.06.16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서는
숙주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해야 하는데 두 개의 유전자 변이만 일어나도 HKU4 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에도 침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근화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사람과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하면서 생존한다. 반면 바이러스는 유전정보와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어 번식을 위해서는
숙주
의 세포에 침투해야 한다. 번식 조건만 비교하면 바이러스에 비해 세균이 더 위협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퇴치하기에는 바이러스가 더 까다롭다.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유전자 구조를 바꾸면서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특히 HIV는 면역세포를 감염시킨 뒤 자신의 유전정보를 세포의 유전자(DNA)에 심어 넣어
숙주
세포가 스스로 바이러스를 복제하게 만드는 기막힌 전략을 쓴다. 이 과정을 차단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HIV에 감염된 사람은 서서히 면역체계가 파괴되면서 각종 염증성 질환과 종양 등으로 사망하게 된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