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
선발
결정
발췌
발탁
취사
지정
스페셜
"
선정
"(으)로 총 1,4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
2021.10.05
줄리어스가 일찍 발견했다 보긴 힘들다). 두 논문 모두 해당 호의 대표 논문으로
선정
돼 저널표지를 다시 한번 장식했다. 네이처는 박하 식물을, 셀은 빙과류를 표지에 실었다. 그 전후로 따뜻한 온도(33도) 촉각 수용체인 TRPV3와 초저온(17도) 촉각 수용체인 TRPA1의 발견도 있었는데 이 역시 경쟁이 ...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온도와 압력 느끼는 인간의 체감 비밀 밝힌 과학자들 수상(종합)
2021.10.04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미스터리였고 이 두 수상자들이 해결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두 사람이 발견한 온도수용체와 촉각수용체는 인류의 감각과 환경 사이 복잡한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누락돼 있던 중요한 연결 고리로 꼽힌다.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 경쟁 통해 촉각·통각 연구 더 발전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생리학과 교수와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과학과 교수를
선정
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황 교수는 "줄리어스 교수의 경우 뜨거운 온도와 매운 맛, 통증이 하나의 분자를 통해 감지된다는 것을 발견해 1997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신경 자극이 어떻게 시작되는지에 관한 문제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이 해결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두 사람이 발견한 온도수용체와 촉각수용체는 인류의 감각과 환경 사이 복잡한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누락돼 있던 중요한 연결 고리로 꼽힌다. ● 인간은 세상을 어떻게 ... ...
노벨생리의학상에 온도와 감각 느끼는 수용체 발견한 생리학자 2명(2보)
2021.10.04
신경 자극이 어떻게 시작되는제지에 관한 문제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이 해결했다"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줄리어스 교수는 열에 반응하는 열에 반응하는 피부의 신경 말단에 있는 감각기를 알아내기 위해 열감을 유발하는 고추의 화합물인 캡사이신을 활용했다. 파타푸티언 교수는 압력 감지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의 백신 개발의 핵심적인 기술을 개발한 커털린 커리코 바이오앤테크 수석부사장(왼쪽)과 드루 와이스먼 펜실베니아대 의대 교수. 펜실베니아대 의대 제 ... 아카데미(문학상), 노르웨이 노벨위원회(평화상)가 투표로 각 분야의 수상자를 최종
선정
한다 ... ...
[2021국정감사] '대장동 개발사업'으로 파행 겪은 과기부 국감서 우주 정책 지적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임 장관은 이날 국정감사 인사말씀에서 "첨단 전략기술을
선정
하고 기술 유형별 단계별 맞춤형 육성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연구개발체계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 ...
[2021국정감사] 임혜숙 "기술패권 경쟁에 첨단전략기술 맞춤형 육성체계 마련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일 "첨단 전략기술을
선정
하고 기술 유형별 단계별 맞춤형 육성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인사말씀에서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 ...
19회 화이자의학상에 성학준 교수·박중원 교수·최동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줄기세포 기술을 접목해 유전성 간질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해 중개의학상 수상자로
선정
됐다. 유전성 난치질환 동물모델 세포를 추출해 체외에서 유전자를 교정하고 다시 이식하는 기술을 치료 전략으로 세워 티로신혈증 동물 모델에서 한번 치료로 생존율을 2배 이상 높였다. 임태환 의학한림원 ... ...
올 겨울 코로나19·독감 동시 온다는데…백신이 '트윈데믹' 해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그는 "만약 독감 mRNA 백신이 상용화 된다면 6~7월쯤 올 겨울에 유행할 바이러스 주를
선정
해도 충분히 9월에 내놓을 수 있다"며 "유행시기와 가까운 시기에 만들수록 유행 바이러스 주를 예측하는 정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전에도 독감 mRNA 백신 개발에 뛰어든 제약사들이 여럿 있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