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25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해에서 ‘솟아오르는 맨틀’ 발견…‘맨틀 표준모형’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온
지구
전체의 ‘맨틀 대류 표준모형’의 변경도 필요해졌다. 박 책임연구원은 “전
지구
적 맨틀 순환과 진화 과정을 더 정확히 규명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광주 제치고…나주에 한전공대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부영 CC 일대가 100점 만점에 총점 92.12점을 받아 최종 부지로 선정됐다. 광주 첨단 산단 3
지구
는 87.88점을 받아 4.24점 차이로 아쉽게 떨어졌다. 입지선정위는 "부영 CC가 입지 여건과 경제성, 지자체 지원계획 등 개발규제 항목에서 골고루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특히 부지의 물리적 환경과 운영계획, ... ...
HD화질로 본 ‘울티마 툴레', 표면에 지름 0.7㎞ 구덩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도는 울티마 툴레는
지구
에서 약 65억 ㎞ 떨어져 있다. 인류가 탐사선을 보낸 천체 중
지구
에서 가장 멀다. 카이퍼벨트는
지구
, 화성 같은 태양계 행성이 형성되고 남은 암석과 얼음 덩어리들로 이뤄져 있다. 울티마 툴레 분석을 통해 원시 상태의 태양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 ...
대기권 재진입 마찰열로 원두 볶은 커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 로스터스가 개발중인 '커피 로스팅 캡슐'의 구조. 캡슐이
지구
로 재진입할때 발생하는 마찰열이 압력 탱크 속 콩으로 전달된다. 스페이스 로스터스 제공 스페이스 로스터스 측은 내년 쯤이면 우주를 이용해 처음으로 볶은 커피를 맛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선전한다. ... ...
교신두절 7개월째, 화성탐사선 '오퍼튜니티' 영구 미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하는 것이다. JPL측이 상정한 고장 시나리오는 세 가지다. 첫 번째는 오퍼튜니티가
지구
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1차 X-밴드 라디오가 고장났다는 가설이다. X-밴드는 2.5㎝의 파장을 갖는 극초단파의 일종이다. 먼 곳의 작은 물체까지 식별 가능해 미사일방어체계(MD)의 조기 경보 레이더에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유일한 보금자리인 마다가스카르에서 이들이 사라진다면, 인간의 유일한 보금자리인
지구
에서 인간이 사라져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여우원숭이가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이라면 그들의 먼 친척인 우리 인간의 미래도 결코 밝다고 할 수 없습니다. 국립공원 인근에서 새참을 ... ...
지구
로 떨어지는 우주쓰레기 막기 위해 한미 전문가 머리 맞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지정해 SSA에 대응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 1호가
지구
상 어디로 떨어질 지 모른 채 추락하던 당시 천문연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군은 미국과 관련 데이터를 공유해 톈궁 1호 추락의 위험을 분석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한국은 그동안 ... ...
[표지로 읽는 과학] 안데스 산맥은 어떻게
지구
상 가장 긴 산맥이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길게 산맥이 솟아올랐는지는 밝혀진 바 없었다. 이런 가운데 첸이웨이 미국 휴스턴대
지구
대기과학과 교수팀은 나즈카 판이 남미 대륙과의 충돌 후 북쪽에서 섭입되기 시작해 점차 남쪽까지 뻗어나가면서 지금의 긴 안데스 산맥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네이처 24일자에 발표했다. 1억 년 전 ...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저감은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일시적일 뿐이다.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
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근본적으로 줄이지 않는 한 비가 온 뒤 잠깐 깨끗해질 순 있어도 곧 미세먼지는 다시 생성될 것”이라며 “인공강우 실험은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수영장 32만개를 채울 수 있는 양이다. 하와이 화산관측소는 연쇄적 화산 폭발과 여러
지구
물리학적 요소와 관련된 관측 데이터들을 내놓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4월 30일 화산의 분화구 측면이 갈라지더니 산 아래 주택가와 가까운 쪽으로 점점 크게 벌어졌다. 3일 뒤인 5월 3일 벌어진 틈으로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