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코트와 짧은 반바지 중에 어떤 것을 입어야 할지 고민해야 되지 않을까. 다행히 걱정할 필요는 없다. 계절과 상관없이 케플러-413b는 사람이 살기에 너무 뜨거운 행성이다.언젠가는 넓고 넓은 우주에서 사람도 살 수 있는, 세개의 천체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곳의 이름은 분명 ...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바다 민달팽이가 즐겨먹는 해조류에 들어 있는데,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요. 바다 달팽이가 해조류를 먹어서 이 유전자를 가지게 된 거예요. 놀랍게도 이 유전자는 유전자 조작을 이용해 동물 세포에 삽입한다고 해도 절대로 발현하지 않아요. 오직 바다 민달팽이만이 이 유전자를 ...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수학으로 활짝 핀 꽃나무가 건강하면 꽃을 피우기 마련이다. 흐드러지게 핀 꽃은 그 숲이 건강하다는 증거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나무가 꽃을 활짝 피울 ... 것과 같다. 앞으로 매년 이맘 때 푸른 잎을 내는 숲을 보며, 숲의 생태계를 보전하고 지키는 데 필요한 수학의 힘을 생각해 보자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분석해야 할 자료도 감당 못할 만큼 쌓였습니다. 아주 큰 수를 처리할 ‘계산법’이 필요했습니다. 가장 문제가 된 건 곱셈이었습니다. 더하고 빼는 일이야 그럭저럭 할만 했지만, 태양까지의 거리를 제곱하는 건 쉽지 않았습니다.넋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 사람들은 큰 수의 곱셈을 간단히 해줄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능에 비해 디자인이 과한 것은 불필요하니까요.”조 건축사의 대답은 단호했다. 나무토막이 더 많으면 자유롭게 만들어 볼 수 있을 텐데 왜 하필 16개로만 만들어야 하는지 기자가 묻자, 조 건축사는 이렇게 답했다.“16개는 제가 실험을 통해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수많은 실패가 잇따르자 근본적으로 새로운 시도가 시작됐다. 다섯 번째 공리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상당한 경우에 다섯 번째 공리가 다른 공리들과 역할이 다르다면 아예 네 가지 공리만 가지고 완결된 기하학 체계를 만들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평행성 공리 없는 기하학 이 이야기의 ... ...
- [과학뉴스] 청계천 수력으로 ‘스마트폰 충전’을?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람이 캠핑족이에요. 캠핑을 하다 보면 휴대전화는 물론이고, 조명이나 스피커도 필요하죠. 작년 12월부터 두 달 동안 미국 캠핑장을 돌았는데 중부나 북부에 있는 캠핑장 대부분이 계곡 근처에 있었어요. 수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죠. 미국은 캠핑인구가 4000만 명이나 됩니다. 올 연말까지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당장 꼭 필요한 정보만 검색했기 때문이다. 때론, 뭐라고 검색해야 할지 몰라서 정작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지도 못한다. 정제되지 않은 정보를 골라내야 하는 수고로움은 또 어떤가. 무엇보다도, 우연한 깨달음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는 게 가장 아쉬운 점이었다.양장에, 500쪽을 훌쩍 넘기는 이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같은 원리로 열을 생산한 뒤 액체수소를 가열해 분사한다. 안전성 등 논의가 많이 필요해 아직은 실현되지 않았다. 미래엔 어떨까.]새로운 출발 - 먼 우주를 향하여2045년 3월, 나는 드디어 ‘2040 우주거북선 호’ 안에 앉아 있다. 10년 전 초짜 우주인 주제에 겁 없이 국제 화성탐사선의 한국 대표에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용량이 커서 저장하기도 힘들다. 컴퓨터 여러 대에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둡(Hadoop), H베이스, 몽고DB는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다. 컴퓨터 수천 대를 연결시켜 테라바이트(TB) 크기의 데이터도 무리 없이 처리할 수 있다.아직 우리나라에선 ... ...
이전457458459460461462463464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