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손아, 해 뒤를 돌아 무사히 나오렴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가해지는 중력의 차이가 워낙 커서 마치 혜성을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힘이
작용
하는데, 이것을 조석력이라고 한다. 지난 2011년 12월에 태양 표면에서 16만 킬로미터를 통과한 러브조이 혜성은 태양의 조석력 때문에 와해되어 버렸다. 이 혜성은 훨씬 긴 꼬리를 만들어서 지구상(남반구 ... ...
3D 프린터만 있으면 손상된 장기 걱정 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패턴화해 조직이나 장기를 프린팅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패턴화된 세포들끼리 상호
작용
을 통해 융합하고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는 29일 오후 6시 30분 대전교육과학연구원에서 ‘미래에는 인공장기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조 교수는 ... ...
신임 선장 강성모, KAIST號 어디로 이끄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고심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육분야는 칠판식 교수법을 개선해 ‘상호
작용
식 수업’으로 바꿀 예정이다. 이러닝(e-Learning) 수업과 온라인 대중 공개 강의도 추진하는데, 이를 위한 스마트 강의실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수업 과정도 전반적으로 손을 볼 예정이다. 완성품을 ... ...
첨단기술 이용해 전통 천연물 해석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컴퓨터모델과 세포 대사정보를 활용해 전통 천연물의 복합성분이 인체에 어떻게
작용
하는가를 분석하는 원천기술과 헬스케어 신소재 발굴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도헌 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장(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은 “천연물 의약품․기능성 식품 관련 산업체와 협력 체제를 적극 ... ...
뇌 속 무슨 일이 생기는지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슈퍼클로멜레온으로 염소이온을 측정하더라도 신경의
작용
에는 문제가 없어 뇌 전체의
작용
을 알아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지 어거스틴 연구단장은 “슈퍼클로멜레온으로 신경세포의 아주 얇은 가지 속 염소농도까지 알 수 있게 됐다”며 “신호 대 잡음비(S/N)가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86개의 줄이 설치돼 있다. 중성미자는 얼음 속의 수소이온에 부딪혀 ‘상호
작용
’을 일으키면 줄을 따라 빛을 방출해 존재를 드러낸다. 최근 아이스큐브의 존재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 미국 매릴랜드대 물리학과 그레고리 설리번 교수는 “아이스큐브가 최초로 태양계 밖 우주에서 날아오는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참고로 감기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한 연구는 나름대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러 유형에 다
작용
하는 범용 치료제를 개발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 범위에서 효과가 있는 약물도 임상과정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문제가 있어 아직 상업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증상이 심한 ... ...
지구온난화 원인 물질 알던 것하고 '다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알려져 왔는데, 이번 연구로 고세균도 세균처럼 아산화질소를 만드는 동일한
작용
을 한다고 밝혀진 셈이다. 고세균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아산화질소를 만드는 과정. 고세균도 세균과 마찬가지로 아산화질소를 만드는 '질산화'와 '탈질'과정을 보인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를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안된다는 말이다. 집에서 사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에 개인에게 중요하고 특별하게
작용
하는 것이 유행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일훈 선생의 채나눔도 여기서 시작되는 것이다. 아파트가 유행하면서 모든 삶의 공간이 '안으로 안으로' 침잠하고 있는 것을 뒤집어보자는 것이다. 좁은 집일수록 ... ...
[김치, 인류의 유산]“도시화·핵가족화·서구화도 못 바꾼 한국인 일상 속 구조화된 전통문화요소”
동아일보
l
2013.11.11
뿔뿔이 흩어지고, 이웃 간에 교류가 적어질수록 김장은 오히려 정을 쌓는 소중한 기회로
작용
했다. 고향을 떠나 도시에 새 거처를 마련한 이들은 김장을 함께 하며 새로운 이웃과 돈독한 정을 쌓아나갔다. 1974년 12월 10일자 동아일보엔 힘들여 담근 김치를 이웃과 나눠 먹으며 “남는 것은 없다만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