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80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연 "올해 소형원전 스마트·i-SMR 등 선진 원자로 집중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낮았다. 경주 양성자가속기연구단은 올해부터 입자빔 기업지원센터 입주를 시작해 산업
활용
도를 높일 예정이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2023년 세계를 선도하고 국민에게 다가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도약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의 응원과 기대 속에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 ...
ETRI "전략·원천기술 확보해 디지털 혁신 선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핵심소재 및 공정기술'이 대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에는 테라비트급 시대에
활용
할 수 있는 광통신 원천기술인 '실리콘 포토닉스'와 인프라 마비 사태를 막을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다중 AI 백신 플랫폼'이 선정됐다. 방승찬 ETRI 원장은 "2023년은 ETRI의 자존심과 자긍심이 온 세계에 다시 빛나기 ... ...
국내 첫 우주 지질자원 개발 연구조직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타이타늄 등 달 현지에서 필요한 자원을 직접 조달해 사용하기 위한 우주현지자원
활용
(ISRU) 연구에 주력한다. 김경자 센터장을 포함해 총 6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됐으며 지속적인 우주자원개발 분야 전문인력을 신규 채용해 조직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원장은 ... ...
결핵 mRNA백신·유전자가위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등장할지도 관심이다. 미국 바이오기업 버텍스 파마슈티컬스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활용
해 겸상적혈구빈혈증 치료제 '엑사셀(exa-cel)'을 개발 중이다. 올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청을 앞두고 있다. 겸상적혈구빈혈증은 적혈구에서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유전자에 결함이 생겨 발생한다. ... ...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점은 이 유형의 참가자 몸무게가 다른 유형의 참가자보다 평균 10% 높았다. 쥐를
활용
한 동물 실험에서도 B-유형을 구성하는 박테로이데스를 투여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체중이 더 많이 증가했다. 또 B-유형으로 분류된 참가자들은 음식물이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시간도 빨랐다. 당초 ... ...
바이오·탄소중립·디지털혁신 등에 올해 6조6726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검토한다. 또한 미래유망기술분야 기획 수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기획 전문위원
활용
을 확대한다. IT 분야는 연구개발 성과가 신속한 민간투자·실용화로 이어지도록 과제기획 단계에서 시장수요조사 절차를 신설한다. 기획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위원 선정위원회를 통해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생쥐에게 이식된 인간의 뇌 유기체가 주변 조직과 연결되고 외부 감각 자극에 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생쥐에 ...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에서 이 장치를
활용
해 신경 질환에 따른 뇌의 반응을 관찰할 계획이다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
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연구팀은 “갈조류는 기후변화 대응에 강력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잠재력
활용
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갯벌, 플랑크톤 등 새로운 탄소흡수원 부상 갯벌도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국내 갯벌이 연간 2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사진에서 3차원 정보 추론하는 AI 반도체 IP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반도체를 지식재산권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모바일 기기에서 인공지능
활용
영역을 크게 넓혀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과 기술이전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