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주도 텔레바이오인식 보안기술 국제표준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5G 통신 시스템의 보안 가이드라인’은 순천향대를 주축으로 5G 통신 시스템의 요소와
기능
을 확인해 요소에 대한 주요 위협을 확인하고 보안 능력을 제시하는 표준이다. ‘데이터 비식별 보증 요구사항’은 개인정보 등에서 데이터를 식별하지 않는 수준을 정의 및 측정하고 적정한지 평가해 ... ...
KAIST 연구진, 뉴로모픽 칩 시냅스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주목받고 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메모리와 프로세스가 통합된
기능
을 수행한다. 뉴로모픽 칩 내부에 물리적 인공신경망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로모픽 칩의 물리적 인공신경망은 뉴런 회로와 이들의 연결부인 시냅스 소자로 ... ...
몸 온도 따라 스스로 열 방출 조절하는
기능
성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유일한 방법은 옷을 더 벗거나 더 입는 것뿐이었으나 이 천은 그럴 필요가 없다”며 “
기능
성 직물에 이런 현상을 적용할 수 있어 활용처가 매우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조직과
기능
에 맞게 최적의 크기를 유지한다고 결론지었다. 즉 같은 조직에서 비슷한
기능
을 하는 세포끼리는 필연적으로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연구에 참여한 안젤리카 아몬 생물학과 교수는 “DNA 복제 동안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세포가 분열을 멈추고 스스로 수리하는데 ... ...
도심화재 예측하고 감염병 의심자 걸러낸다...다부처 R&D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기계 고속동기화 제어기술’이 선정됐다. 이 사업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근력 등 신체
기능
을 강화·향상시키는 유연한 착용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사청과 산업부, 과기정통부가 참여한다. 국방 분야에서는 병사들의 근지구력 향상을 통한 기동성 및 임무 지속성을 늘리고 민간 ... ...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일단 NK 세포가 손상된 말초신경을 제거한 자리에서는 다시 새로운 신경이 자라나
기능
을 회복했다. 말초신경은 중추신경과 달리 재생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NK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오 교수는 “말초신경에 RAE-1 단백질의 양을 인위적으로 늘리자 NK 세포가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뇌에서 감정을 담당하는 영역인 ‘편도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일부 단백질이 활발히
기능
했다. 이노시톨 대사 효소가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고, 그 결과 기억 소거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김세윤 교수는 “공포 기억을 없애는 과정은 아직 거의 밝혀지지 않았고, 일부 발견된 기억 조절 ... ...
美연구진, 대장균 유전자도 교정하는 ‘크리스퍼’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규명하는 데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진은 “기존의 Cas9과 Cpf1과는 다른
기능
이 필요한 유전자 교정에 CasX 효소가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CasX 효소가 기존 두 효소에 비해 크기가 작은 만큼 정밀한 유전자 치료제 임상 등에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 ...
美연구팀, 치매의 또 다른 원인으로 피브리노겐 누출 지목
2019.02.06
사실도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치매 또는 다른 신경질환에서 나타나는 인지
기능
저하의 원인과 치료법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신경과학 전문지 '신경세포'(Neuron) 최신호(2월 5일 자)에 발표됐다. [제작 이태호] 일러스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0.001%에 불과하다. 근육세포는 다른 세포에 비해 엄청나게 크다는 말이다. 이는 근육의
기능
을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근섬유의 수축과 이완으로 힘을 내야 하는데 만일 보통 세포처럼 지름 수십㎛(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인 공 모양이라면 섬유가 너무 짧기 때문이다. 근육을 이루는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