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095건 검색되었습니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
로봇
과학동아
l
2016.04.24
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바이오
로봇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기장은 생명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파란색 빛에만 반응해 움직이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근육세포를 ... ...
마약탐지견 행동조절 원인, 유전자에서 찾았다
2016.04.24
특수목적견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은 올해 2월 국립축산과학원 동물
바이오
공학과 연구자들이 체세포 복제기술로 생산한 특수목적견 복제 강아지 5마리의 모습. - 국립축산과학원 ... ...
[토요스케치]아침마다 시원하게… 키위야, 변비를 부탁해!
동아일보
l
2016.04.23
액티니딘이 들어 있어 식사 후 더부룩한 느낌을 줄이고,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
바이오
틱 역할도 하기 때문에 대장 내 ‘미생물 생태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달콤한 키위가 혈당 억제한다? 전 세계가 ‘당뇨병 비상’에 걸리면서 키위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최근 ... ...
피부에 붙이기만 하면 정신건강 감정 끝
2016.04.19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건강측정의 새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영호 KAIST
바이오
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정신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부착형 패치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사람의 맥박을 측정해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검사 장비는 ... ...
오줌의 대변신…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까지
2016.04.15
교배시켰더니 새끼가 탄생해 번식 능력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국내 한
바이오
기업은 소변에 있는 세포에서 성체줄기세포를 추출해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지난달 발표했다. 중국 내 여성 경제인이나 연예인 등의 소변을 들여오기 위해 중국 기관과 합작계약도 ... ...
[4·13 총선] ‘과학도시’ 민심은 더민주로…이상민 의원 4선 성공
2016.04.14
“국방신뢰성시험센터 유치에 성공한 만큼 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주변의 오송
바이오
단지 등과 연계한다면 과학벨트에 필적할 만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세종시 이전에도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의원은 “세종시는 디자인 당시부터 ... ...
DNA에도 ‘슈퍼 히어로’ 있다
동아일보
l
2016.04.13
것이라고 추론했기 때문이다. 의학계에서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실린 한 논문에서 어떤 유전적 결함에도 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슈퍼 히어로 DNA’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BBC가 보도했다. 미국 뉴욕 아이칸의대 에릭 샤트 박사팀이 이끄는 ... ...
조울증 진단과 치료 실마리 찾았다
2016.04.12
아모르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DMN과 SMN의 활성화 패턴이 조울증을 진단하는 ‘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조울증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풍부한 심해에서 서식하는 고세균 ‘NA1’의 일산화탄소 적응 현상을 적용해
바이오
수소를 생산하는 균주 ‘156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양 심해열수구 인근 고온에서 서식하는 NA1은 크기 1㎛(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 정도의 일산화탄소를 먹고 수소를 뱉어내는 원핵생물이다. ... ...
뇌 신경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
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걸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뇌 속 산성도 변화는 특히 중요하다. 연구진이 개발한
바이오
센서 ‘파도’의 모식도. 4개의 수소이온통로(S1~S4)를 통해 농도를 감지한 후 이를 형광의 세기로 표현한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지금까지는 뇌 신경계 활동을 관찰하기 위해 번거로운 전극을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