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혈액줄기
세포
의 안내자 대식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동안 틈 내부에 잘 보존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 교수는 “건강한 혈액
세포
생성은 생명체 수명에 중요한 요소로, 노화 연구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5분 정도만 지나도 육안으로 색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했다. 유방암과 전립선암, 대장암
세포
200개의 DNA를 대상으로 시험해 본 결과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진은 다양한 암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임상 시험을 확대할 계획이다. 트라우 교수는 “매우 저렴하고 간단한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임승외 (kangsukki@gmail.com) 미국 퍼듀대 약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암
세포
의 면역 회피기작과 면역 항암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현재 은퇴)은 1970년 우연히 작은 입자를 빛으로 포획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레이저로
세포
와 바이러스 포획 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따기’였다. 이론적으로 계산은 할 수 있었지만 실험으로 힘의 크기를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항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doi:10.1038/256495a0 다만 여기에는 동물 B
세포
를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는 인간 항체와는 서열이 달라 거부반응인 면역원성(immunogenicity)이 발생한다. 당시 밀스테인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를 진행하던 윈터 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두드러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2014년 포유류의 뇌에서 장소
세포
와 격자
세포
를 밝혀낸 공로로 남편인 에드바르드 모세르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마이브리트 모세르 노르웨이 과학기술대 교수. Universitetet i Bergen 제공 노벨상위원회와 노벨상 후보를 추천하는 과학계의 여성 ... ...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2건) 등의 연구가 포함된다. 김경규 성균관대 항균내성치료제연구소장은 “사람
세포
를 대상으로 하는 항암물질 연구보다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물질 연구가 비교적 다루기 쉽다”며 “미생물 쪽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가 항생 물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만큼 ... ...
울릉도 땅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있는 클로로퀸에 내성이 있는 열대열원충의 생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사람
세포
에서 독성을 띠지 않아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물질로 적합다고 평가했다. 안종석 단장은 “국내 고유 미생물자원 활용해 천연물 혁신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물질을 찾았다”며 “울릉도 토양 뿐 아니라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catenulisporolides A∼D)라는 이름이 붙었다. 생리활성 검정 결과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열대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 3D7)에 대해 저해 활성을 보였다. 열대열원충은 사람에 기생하며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원생생물 중 하나다.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 생합성 ... ...
나노영챌린지 최우수상에 이우석 김한은 김동규씨
과학동아
l
2018.12.06
가진 진청색 OLED 소재 및 소자 기술(성균관대 이준엽 교수팀), 나노코팅된 인간면역
세포
를 활용한 생리물질 전달 기술(중앙대 최종훈 교수팀), 단백질을 모방한 3차원 금속 나노입자 합성 기술(서울대 남기태교수팀), 반도체의 인라인 나노계측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동 원자현미경 기술(파크시스템즈)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