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탐색시스템 개발을 총괄했으며, 정밀한 관측을 통해 별과 행성에 의한 미세한 변화를
연구
하고 있다.slkim@kasi.re.kr 용어정리*도플러 효과별이 우리(관측자)한테서 멀어지면 별빛은 파장이 긴 빨간색으로 변하고, 가까워지면 파장이 짧은 파란색으로 변하는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회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신체 능력을 업그레이드한 경우에 해당한다. 소 수석
연구
원은 “사이보그가 로봇과 싸워 이기려면 인간과 기계를 잇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도 중요하다”며 “자신의 능력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판단하고, 기계 장치에 명령이 빠르게 전달돼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
연구
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방향이 통발 안에 있는 분비샘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과 비슷했습니다.이
연구
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0월호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름이 붙은 수학 개념이 많습니다.재밌는 사실은 가장 잘 알려진 ‘뫼비우스의 띠’를
연구
실이 아닌 휴가지에서 발견했다는 점입니다. 바닷가에 놀러간 뫼비우스가 파리를 잡기 위해 종이 띠의 양쪽 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끈적이는 면을 바깥으로 하려고 한쪽 끝을 비틀어 붙여 놨는데, 그게 ... ...
[그림으로 보는 난제] 아직 끝나지 않은 푸앵카레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나 앙리 푸앵카레가 무덤에서도 잠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하나! 1904년 제기한 ‘푸앵카레의 추측’이 아직도 풀리지 않았기 때문! 2002년에 풀리지 않았냐 ... 4차원 푸앵카레 추측Part4. 푸앵카레배 찬반토론 도움박경배(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BK
연구
교수), 백형렬(KAIST 수리과학과 교수 ... ...
여기는 국내 유일 특성화고 전문 채널!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몇 년씩 함께 늦어지고 있는 것은 ‘국가적 손해’예요.” _김상기 서울여상 특성화
연구
부장 선생님의 말처럼 특성화고등학교는 ‘나의 적성을 살려 빨리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학교’예요. 혹시 이미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정했고 다른 공부에는 특별한 흥미가 없는데 사회적 인식 때문에 ... ...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PEG를 바르지 않은 비글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신경이 얼마나 회복되는지 관찰했지요. 이
연구
는 전신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의 머리에 신체를 이식하려는 ‘헤븐 프로젝트’의 하나예요. 머리에 신체를 이식하는 수술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아요. 먼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해요. ... ...
두려움에 맞서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안구 운동을 시켰어요. 이후 ‘삐’ 소리로 쥐에게 공포를 줘도 공포 반응이 줄었지요.
연구
팀은 쥐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뇌의 신경세포 활동을 측정해 안구 운동이 공포 반응을 줄이는 이유를 찾았어요. 쥐의 눈에 빛이 들어와 시각적인 자극을 받으면 안구 운동 및 주의집중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자동차, 사람, 공사장 등 주변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새 소리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연구
하는 거죠. 두 번째는 ‘새들의 사투리’예요. 사람과 마찬가지로 새도 지방마다 특색이 있어요. 소리모아 탐사를 통해 모인 다양한 새 소리는 지역 특색을 알아내는 데 유용할 거예요.” 탐사에 참여한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