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인지체계가 분리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이다. 이중언어 사용자는 평소에는 둘을 함께 사용하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한쪽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에 따라 세계를 서로 달리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3월 6일 ‘심리과학’ 저널에 실렸다. 단정할 순 없지만, 사랑이가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동해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속도가 빠르고 몸집이 큰 새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략이다. 독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는 더 높이 날아가는데, 높이 올라가기 위해 스스로 날갯짓을 하지 않는다. 바다 위나 산비탈에 생기는 따뜻한 상승 기류를 타고 적당한 높이에 올라간 뒤 서서히 하강 ... ...
- [과학뉴스] 현대차, 2020년 자율주행 로드맵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미국 캘리포니아 모하비 사막. 자동차 여섯 대가 흙먼지 날리는 도로를 일렬로 달리고 있다. 갑자기 운전자들이 선루프를 열고 자동차 위로 올라선다. 그런 뒤 한 사람씩 ... 초점을 두다 보니 양산이 어려운 센서를 이용하고, 제한된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생물학자 윌리 헤닉(Willi Hennig)은 린네식 분류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기분류법의 사용을 제안했다. 공통된 선조를 가지는 그룹을 묶어 마치 나무의 뿌리를 그리는 것처럼 가계도를 그리는 분류법이다. 생물의 분류방법이 분기분류법으로 바뀌면서 파충류의 정의 또한 바뀌었다. 현재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생각한 스웨덴의 물리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처음 제안했던 눈금은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눈금과는 반대였다. 물의 끓는점이 0℃로, 어는점이 100℃였다. 이 방식에선 어는점보다 차가운 온도는 100보다 큰 수로 표시돼, 음수가 필요 없게 된다. 오늘날 영하 10℃는 셀시우스에게는 110℃였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런 전자소자를 웨어러블 전자소자라고 합니다.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는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만드는 분야입니다.Q 웨어러블 전자소자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뇌전증 수술이나 심혈관 질환 수술을 할 때 진단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뇌나 심장에 얇은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있었다. 악어와 같은 원시적인 파충류와 달리 다리가 곧게 뻗어 직립을 했고 앞발을 사용할 수 있었다. 또 새처럼 3개의 뒷발가락으로 걸었고 앞발은 자유로웠으며 손목관절은 유연하게 회전할 수 있었다. 진화된 수각류 공룡의 한 종류인 드로마에오사우루스류는 몸집도 점점 작게 진화했다(몸집이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감독)는 20년 전에 이미 세련된 방법을 찾았다. LCL(Link Connect Liquid)이라는 가상의 액체를 사용해서 말이다. 조종사는 뇌에 센서를 심는 대신, 조종석에 가득 찬 액체를 들이마셔 에바와 신경접속한다(침습형 BMI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LCL은 조종사의 폐에 직접 산소를 공급한다. 이건 실제 모델이 된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너무 많은 경우 갑상선종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신생아에게 사용해서는 안된다. 산모 역시 태반으로 요오드가 이동해 신생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빨간약을 반복해서 바르면 세균과 함께 피부재생 세포도 함께 죽어 오히려 상처 치료가 늦어지기도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상으로 설계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서탑은 기존에 쓰였던 석재를 최대한 재사용해 쌓을 계획입니다. 재료까지 최대한 원형을 유지하는 진정한 의미의 보수정비인 셈입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파손되거나 약해진 석재를 그냥 쓸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냥 새 돌을 깎아 쓰면 되지만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