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얼마나 먹어치우는지에 대해 꼼꼼히 기술되어 있다. 그들의 식사량은 소인들과 대인들의 에너지 소모를 정교하게 계산해서 얻어진 것들이다. 만약 키가 1백50cm인 아이가 6mm로, 2천5백배쯤 줄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그 아이의 부피는 2천5백의 세제곱인 약 1.56×1010배만큼 줄 것이다. 그러나 그의 ... ...
- 달 남극에서 얼음호수 발견과학동아 l1997년 02호
- 개척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물이다. 물은 비중이 높기 때문에 운반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든다. 그래서 유인우주선에서는 물을 적게 싣기 위해 인간이 배설한 물을 다시 활용한다.만약 달에 유인기지를 만들려면 많은 양의 물을 싣고 가야 한다. 그런데 이제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최근 달 ... ...
- 화성에 안전하게 발디디려면 20년 이상 기다려야과학동아 l1997년 02호
- 궤도를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15개월. 많은 과학자들은 고에너지의 방사선이 우주선을 뚫고 비행사들을 공격해 암, 백내장, 불임, 회복될 수 없는 신경 손상을 일으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현재의 연구 추세라면 이 기간 동안 우주비행사에게 얼마나 많은 보호물이 필요한지 아는데 ... ...
- 공룡알 판매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모든 방향으로 구속돼 있으므로 전자의 에너지는 모든 방향으로 양자화돼 특정한 에너지값만 가져야 한다열대 태평양에 위치한 워커 순환은 인도네시아 부근에서는 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동 태평양상에서는 고압부를 형성하는데, 그 기압차는 5-10 hPa 정도로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 ...
- Ⅲ. 피라미드가 대장균 없앤다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도형도 없는 백지(대조구)와 비교해 차이를 확인했다.실험 결과 ②평면에도 고유의 에너지 발생우선 각각의 도형마다 독특한 영향력이 미생물에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아가 도형마다 영향력의 세기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즉 데와 히데오의 도형은 대조구에 비해 대장균의 ...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별자리마다 위치 표시의 기준이 되는 중심별을 정해두었다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끌어내릴 수 있는 원리다자연에 들어 있는 대칭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두 대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무늬를 구별하며, 결정 ...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또 이 에너지의 자극을 받으면 전구가 켜지도록 장비를 설치했다. 마지막으로 A수준의 에너지가 방출되면 전구가 오른쪽으로 켜지도록 만들고, B수준의 경우 왼쪽으로 켜지도록 장치했다. 이때 어느 순간에도 전구는 하나만 켜지도록 돼 있었다.보통의 경우 방사성원소의 붕괴가 시작될 때 전구가 ... ...
- 2. 서비스로봇 빅4과학동아 l1997년 01호
- 일반 로봇과 달리 로봇의 중량을 줄여야 한다. 우주선 발사과정에서의 막대한 추진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서다. 독일 항공우주연구소(DLR)에서는 이를 위해 경량 우주작업로봇을 개발했는데,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이 로봇은 10kg에 불과한 자체 무게로 10kg의 중량을 들어올린다.우주로봇이 수행하는 ... ...
- 적외선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낮은 전자가 방출될 것이다. 이러한 전자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전자는 가속되면서 에너지를 얻게 된다. 이렇게 가속된 전자가 다시 형광판을 때리면, 이 전기신호는 강한 광신호로 바뀌어 우리 눈의 시세포를 자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광증폭기를 2차원으로 배열하면 마치 TV처럼 2차원 ... ...
- Ⅱ. 초과학 연구의 산실 한국정신과학연구소과학동아 l1997년 01호
- “1년 후에 공간에 존재하는 불가사의한 에너지를 이용, 무한동력장치와 같은 신에너지 발생장치가 이들에 의해 개발될지 모른다”고 조심스럽게 진단한다.현재 한국정신과학연구소의 재원은 일부 기업에서만 담당하고 있다.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확산되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