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사색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철저히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교사가 상당히 긴장하게 된다. 여학생들은 또
그림
이나 도표를 정교하고 깨끗하게 잘 그려낸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공간지각에 오히려 약하고 그래프 해석에 약하다는 사실이다. 전체적으로 여학생은 큰 과학적 논리의 흐름과 과학적 표현에 어려워하지만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편지도 보내자는 과학자들의 의견에 따라 1972~73년 사이에 띄운 '파이오니어'10 및 11호엔
그림
엽서를 실려보냈다. 이것은 알미늄판을 금박으로 덮은 15.2×22.9cm의 크기의 엽서인데 여기엔 지구인의 남녀모습, 태양계, 파이오니어우주선의 진로 및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가 소개되었다. 지구인의 ... ...
스피커 시스템2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뒤판도 밀봉시켜 주어야 한다. 이 스피커 시스템의 위상효과를 갖게하는 닥트 설치는
그림
도면에서와 같이 밑쪽에 설치하여주는 것이 좋다. 버폴판에 스피커 유니트를 붙일때 프레임과 합판사이에 조그마한 공간도 있지않게 단단히해주고 고정시켜줄때 나사에 와샤를 끼워주도록 한다. 저음과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위에서 때로는 심해의 퇴적물을 벗겨내면서 쐐기 모양의 퇴적물집적대를 형성한다(
그림
B·아래중앙의 다갈색쐐기). 파고드는 플레이트의 일부도 깎여 그 단편은 침강을 면한다. 다른 부분의 해양저는 침강되어 사라져 버리므로 두 대륙이 정면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의 접점에서는 양쪽다 해양 ... ...
사무자동화의 최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우수하여 사무 자동화 분야에 많이 사용되며 전송 매체로는 동축선이 주로 이용된다.(
그림
1) 2) 환형(Ring) 구조 환형 구조는 전송선로를 노드와 연결하여 선로를 원형으로 만드는 구조를 말한다. 선로상의 데이타는 선로를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순환되어 연결된 노드에 전송된다. 망에 연결된 각 ... ...
지상 최대의 초전도 입자가속기 제작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예측됐던 '힉스 보손'이라는 새로운 입자를 검출해 낼까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림
참조) 기존의 가속기와는 다른 차원의 사실을 밝혀낼 SSC는 질량의 기원과 '일렉트로 윅'이론에서의 대칭성파괴와 같은 근본적 문제를 본격적으로 구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SSC는 또 ... ...
바이오매스 잠재력 무한한 녹색 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있으며 또한 동물이나 미생물을 통해서 나오는 배설물이나 폐기물까지 모두 포함된다(
그림
1). 따라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바이오매스 총량은 대단히 많아서 이것을 에너지로 바꿔 계산하였을 때 세계 전체에서 매년 소비하는 에너지 총량의 1백배를 넘는다. 또한 매년 바이오매스로 만들어지는 ... ...
서울의 소음공해, 위험수준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매우 급한 용무가 있는 사람인가 했더니 건너가서 양손을 주머니에 꽂고 광고판의
그림
을 보고 있는 것을 보고 아연실색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미국에 가서도 버리지 못할 정도로 심화된 괴벽으로 되었단 말인가?이러한 현상이 ... ...
해양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수위차를 이용해 발전하는 것이다. 즉 물채움→대기→발전→대기의 순환이 반복된다(
그림
1). 이와 반대로 밀물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출력 면에서 볼 때 썰물 때 발전이 유리하다. 또 물을 채운 후 대기할 동안 약간의 양수(揚水)를 하면 들인 것 이상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단류식 발전은 ... ...
공룡비행기, 워싱턴 상공을 난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비행기인 것이다. 1500년대 초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러한 것들을 처음으로 스케치
그림
으로 표시해본 이래 그러한 것들은 거의 제작된 적이 없다.큰 새들에게 있어서 날개짓은 그리 눈에 뜨이지 않는다. 이를테면 독수리의 '날개짓' 은 약 2초 주기(週期)이며 이에 비해 제비는 0.5초이다. QN은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